불순물이 주입되지 않은 반도체나 도너 원자와 억셉터 원자가 동일하게 주입된 반도체나 모바일 캐리어의 농도는 같을 것이다. 하지만, 불순물이 주입되면 스캐터링들이 발생하여 흐름에 방해가 생기기 떄문에 전기 전도도가 떨어진다. JK플립플롭에 J=K=1이 가해지면 신호가 토글되고, 클럭의 특정(상승 또는 하강) 에지에서 반응하기 때문에 한번 플립플롭을 거칠 때마다 주파수는 반으로 떨어진다. VB=0+0.7=0.7 V이고, VCBQ=VCC/2=5 V이다. 따라서 VC=0.7+5=5.7 V임을 알 …
카테고리 글 보관함:전자회로/전자공학
2009년도 국회9급 전자공학개론 해설
I가 D1으로 나간다 해도 모순점이 없다. 따라서 D1이 쇼트되므로 I=15/10=1.5 mA가 흐른다.Vx=0이다. 잘못풀었다. 왜 아무도 지적을 안 해주신거지?ㅠ 밀러 등가회로는 전압 증폭 효과에 의해 생기는 양쪽 임피던스 차이를 반영한 등가회로이다.천천히 분석해보자.Z에 전압 Vi를 가했을 때 전류가 I만큼 흘렀다면, Z=Vi/I이다.그런데, 앰프 때문에 Z의 다른 쪽이 AVi라는 전압을 받게 된다면, 양 단의 전압 강하는 Vi-AVi=(1-A)Vi가 되고, 이에 …
2014년도 국회9급 전자공학개론 해설
넘어가겠다. 묶을 수 있는 것들을 가능한 크게 묶어보자. 넘어가겠다. 리사쥬 파형이란 걸 처음 들어봤다. 아마도, x축과 y축에 특정 전파를 넣어서 어떤 형태의 곡선을 그리는지 보는 것 같다. 주어진 값으로 추정컨대 30도 아니면 60도인데… 순서 헷갈리지 말자. 잘 모르겠다. I1의 경우 전압이 45도 빠르고, I2의 경우 전압이 45도 느릴 것이다. 들어온 AC를 원하는 전압으로 바꾸고, 정류한 …
2015년도 국회9급 전자공학개론 해설
넘어가겠다. CB 증폭기는 이미터 쪽이 입력인데, 이 때의 입력 임피던스는 1/gm이라는 작은 값이 된다. 왜 그런지는 다른 해설에서 직관적인 설명을 해 두었다.다른 것들에 대한 설명들도 소신호 모델이 머리속에 잘 들어있다면 어렵지 않게 맞는지 틀렸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1번과 5번이 상충한다. 어느게 맞는지는 굳이 설명하지 않겠다. 그냥 풀면 재미없으니까, 2 kOhm 자리가 포트인 테브닌 등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