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GS가 커질수록 채널이 넓어지므로 채널 저항이 작아진다. 즉 드레인 전류 ID가 더 커진다.
그렇다.
핀치-오프 전압에서부터는 드레인 쪽에서 캐리어들이 강한 전기장을 받아서 순식간에 이동한다. 이에 따라 드레인 전류는 채널 내의 캐리어 수에만 의존하고, VDS에는 이상적으로는 의존하지 않게 된다.
n채널 JFET의 게이트는 p형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5번
TCP/IP 프로토콜은 높은 순서대로 응용 계층, 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계층으로 이루어져있다. 세션 계층은 OSI 7 모델에 존재한다. 따라서 답은 4번 이다.
6번
F+G는 OR이므로 양쪽 모두를 더하면 된다. 따라서
F+G=∑m(1,2,3,4,6)
이다. 한편 F⋅G는 AND이므로 양쪽에 공통으로 있는 항들만 뽑으면 된다. 따라서
F⋅G=∑m(1,6)
이다. 그러므로 답은 4번 이다.
7번
D/A 변환은 DAC를 이용해야 한다.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잡음을 걸러내며 전압을 비교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이 구형(직사각형)이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8번
제너 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이 0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OPAMP의 네거티브 피드백에 의해서 이 OPAMP의 -단자에 가해지는 0 V가 +단자에도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이 전압은 R4의 위쪽에 걸린다.
한편 R4의 위쪽에 걸리는 전압이 1010+10=2 배로 증폭된 것이 Vout이 된다. 그러나 R4의 위쪽 전압은 앞서 말했듯 0이므로 Vout=0 이다. 따라서 R1의 양단의 전압은
Vin−Vout=Vin−0=Vin
이다. 그러므로 R1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V1이 최대인 10 V일 때 최대이므로 최대 소비 전력은
Pmax=10102=10 W
이고 답은 2번 이다.
9번
공통 컬렉터 회로는 이미터 폴로워라고도 하며, 폴로워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위상은 같다. 이는 베이스에 가해지는 입력 전압이 이미터 입력 저항과 이미터 쪽에 달려있는 저항 중간 지점에 분배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공통 베이스 회로의 입력 신호는 이미터에 가해지며, 출력은 컬렉터에서 취한다. 이미터의 전압이 올라가면 전류가 줄어들어서 컬렉터 쪽에 나타나는 전압 강하가 줄어든다. 즉 컬렉터 전압이 올라가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 신호의 위상은 같다.
공통 이미터 회로의 입력 신호는 베이스에 가해지며, 출력은 컬렉터에서 취한다. 베이스의 전압이 올라가면 전류가 늘어나서 컬렉터 쪽에 나타나는 전압 강하가 커진다. 즉 컬렉터 전압이 작아지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 신호의 위상은 180∘이다.
그렇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0번
먼저 테브닌 저항을 구해보자. 전압원을 단락시키면 6∣∣12=4Ω의 등가저항이 나타나므로 RL=4Ω일 때 최대 전력 전달이 일어난다. 이제 12Ω와 RL에 걸리는 전압을 구해보자.
12∣∣RL=12∣∣4=3Ω이므로, 18 V 전압원은 위쪽 6Ω에 12 V, 방금 구한 3Ω에 6 V를 걸어준다. 따라서 RL이 소모하는 전력은
피상전력은 복소 전압과 복소 전류의 곱이지, 각각의 피크치의 곱이 아니다. 각각의 피크치가 나타나는 위상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각의 피크치의 곱은 무의미하다.
그렇다.
그렇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9번
인코더는 정보를 코드화하는 데 사용한다.
그렇다. 병렬로 입력을 받고, 각 캐리들은 다음 전가산기로 직렬로 연결하면 된다.
그렇다. 합은 XOR, 캐리는 AND로 구현된다.
그렇다. 패리티를 이용해서 오류가 발생했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20번
드 모르간의 법칙을 이용해서 Z에 있는 버블을 입력 쪽으로 옮기고 연산을 OR로 바꾸자. 그러면 OR 게이트의 아래쪽 입력은 A⋅D이고, 위쪽에 입력되는 NAND의 출력 버블은 상쇄되어 AND가 된다.
다음으로 그 앞의 NAND에 대해서도 드 모르간의 법칙을 적용하여 출력의 버블을 입력 쪽으로 옮기고 연산을 OR로 바꾸자. 그러면 아래쪽 입력은 C가 되고, 위쪽에 입력되는 NAND의 출력 버블은 상쇄되어 AND가 되므로 그 출력은 A⋅D이다.
이제 A⋅D와 C의 OR 연산이 B와 AND되고, 이 결과가 A⋅D와 OR된다. 정리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