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 PDF 파일을 로드하고 있습니다. 한참 걸릴 수도 있어요 ㅠㅠ 30초 이상 걸리면 새로고침을 한번 해보세요.

2024 9급 국회직 전자공학개론

1번

OPAMP는 증폭률이 4020=2-\frac{40}{20}=-2인 반전 증폭기 회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OPAMP의 출력쪽은

2Asin100t-2Asin100t

전압을 만들어내는 독립 전압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RLR_L의 입장은 이 독립 전압원과 4 Ω\Omega의 저항으로 이루어진 테브닌 등가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최대 전력 전달은 RLR_L이 테브닌 등가 저항 4 Ω\Omega와 같을 때 일어난다. 이 때 RLR_L에는 Asin100t-Asin100t의 전압이 걸리게 되는데, RLR_L이 소비하는 평균전력이 2 W라고 하였으므로

PRL=2=12A2RLA2=16A=4\begin{equation} \begin{split} P_{R_L}&=2\\ &=\frac{1}{2}\frac{A^2}{R_L}\\ \Rightarrow A^2&=16\\ \Rightarrow A&=4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2번

전압이득을 구해보면

Av=R21jωC1R1=R2jωC1R2+1jωC1R1=R2jωC1R1(R2+1jωC1)=R2jωR1R2C1+R1=R2R1jωR2C1+1\begin{equation} \begin{split} A_v&=-\frac{R_2\left|\left|\frac{1}{j\omega C_1}\right.\right.}{R_1}\\ &=-\frac{\frac{\frac{R_2}{j\omega C_1}}{R_2+\frac{1}{j\omega C_1}}}{R_1}\\ &=-\frac{\frac{R_2}{j\omega C_1}}{R_1\left(R_2+\frac{1}{j\omega C_1}\right)}\\ &=-\frac{R_2}{j\omega R_1R_2 C_1 +R_1}\\ &=-\frac{\frac{R_2}{R_1}}{j\omega R_2C_1+1}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차단(각)주파수는 1R2C1\frac{1}{R_2C_1}임을 알 수 있다. 이 값이 1 rad/s이고, C1C_1에 적혀있는 105로부터 C1=10×105 pF=106C_1=10\times 10^5\text{ pF}=10^{-6} F임을 알 수 있으므로 R2R_2를 계산하면

1R2C1=1R2=1C1=106=103 kΩ\begin{equation} \begin{split} \frac{1}{R_2C_1}&=1\\ \Rightarrow R_2&=\frac{1}{C_1}\\ &=10^6\\ &=10^3\text{ k}\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한편 (직류)전압이득의 크기가 2라고 하였으므로

R2R1=2R1=R22=500 kΩ\begin{equation} \begin{split} \left|-\frac{R_2}{R_1}\right|&=2\\ \Rightarrow R_1&=\frac{R_2}{2}\\ &=500\text{ k}\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5번 이다.

사실 차단각주파수는 바로 1R2C1\frac{1}{R_2C_1}임을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C1C_1에 연결된 저항이 R2R_2밖에 없기 때문이다. R1R_1과는 중간에 그라운드가 되기 때문에 상관이 없다고 볼 수 있다.

3번

Vi>0V_i\gt0이면 D1,D4D_1,D_4가 켜진다. 그런데 ViV_i의 +가 VoV_o의 -쪽에 연결되고, ViV_i의 -가 VoV_o의 +쪽에 연결되므로 Vo=ViV_o=-V_i임을 알 수 있다. Vi<0V_i\lt0이면 D2,D3D_2,D_3가 켜지는데, 이 때에는 ViV_i의 +가 VoV_o의 +에, ViV_i의 -가 VoV_o의 -에 연결되므로 Vo=ViV_o=V_i이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그래프는 3번 이다.

4번

전체 전압이득은 두 전압이득의 곱이므로

Av=20log(2000×500)=20log(1000000)=20×6=120 dB\begin{equation} \begin{split} A_v&=20 log(2000\times500)\\ &=20log(1000000)\\ &=20\times6\\ &=120\text{ dB}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대역폭은 더 큰 하한 임계주파수와 더 작은 상한 임계주파수 사이의 거리이므로

50050=450 kHz500-50=450\text{ kHz}

이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4번 이다.

5번

등가 저항을 구하기 위해 전압원을 쇼트시키면

RTH=612=6×126+12=7218=4 Ω\begin{equation} \begin{split} R_{TH}&=6||12\\ &=\frac{6\times12}{6+12}\\ &=\frac{72}{18}\\ &=4\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등가전압은 RLR_L을 개방했을 때 6 Ω\Omega저항과 12 Ω\Omega 사이의 전압이므로 노드 방정식을 세우면

18VTH6=VTH912362VTH=VTH93VTH=45VTH=15 V\begin{equation} \begin{split} \frac{18-V_{TH}}{6}&=\frac{V_{TH}-9}{12}\\ \Rightarrow 36-2V_{TH}&=V_{TH}-9\\ \Rightarrow 3V_{TH}&=45\\ \Rightarrow V_{TH}&=15\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에 해당하는 것은 3번 이다.

6번

다이오드의 음극쪽의 전압은

12×210+2=2 V12\times\frac{2}{10+2}=2\text{ V}

이다. 따라서 입력이 2+0.7=2.72+0.7=2.7 V보다 커지는 순간 다이오드가 도통된다. 따라서 출력전압의 최댓값은 2.7 V이다. 반대로 이보다 내려가는 순간 다이오드가 꺼져서 입력전압이 그대로 출력되므로 최솟값은 -12 V이다. 그러므로 출력전압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2.712=9.3 V2.7-12=-9.3\text{ V}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7번

네거티브 피드백이 있으므로 연산증폭기의 -단자와 +단자의 전압은 같다. +단자의 전압을 구해보면

V+=V3×105+10=1.5×23=1 V\begin{equation} \begin{split} V_+&=V_3\times\frac{10}{5+10}\\ &=1.5\times\frac{2}{3}\\ &=1\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단자 전압도 V=1V_-=1 V이다. 이로부터 노드방정식을 세우면

3110+2110=1Vout202+110=1Vout20Vout=16=5 V\begin{equation} \begin{split} \frac{3-1}{10}+\frac{2-1}{10}&=\frac{1-V_{out}}{20}\\ \Rightarrow \frac{2+1}{10}&=\frac{1-V_{out}}{20}\\ \Rightarrow V_{out}&=1-6\\ &=-5\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5번 이다.

8번

이 문제는 2016년 국가직 7급 전자회로에 나온 문제와 매우 비슷하다.

  1. 전파 정류 회로이므로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는 출력전압의 주파수는 입력전압 주파수의 2배인 120 Hz이다.
  2. 2:1의 변압기를 거치고, 중간탭이 있으므로 2차측에 전달되는 전압의 피크값은 1002=50\frac{100}{2}=50 V인데, 위쪽과 아래쪽에 절반씩 나눠서 다른 극성으로 걸린다. 따라서 다이오드에 입력되는 피크값은 25 V인데, 여기서 다이오드의 순방향 바이어스의 전압강하 0.7 V를 빼면 24.3 V가 출력전압의 피크값이다.
  3. 입력신호가 음의 반주기인 동안 출력전압의 피크값은 위에서 구한 24.3 V인데, D1D_1의 양극에는 -25 V가 걸리므로 D1D_1의 역방향 피크 전압은 2524.3=49.3-25-24.3=-49.3 V이다.
  4. D1D_1이 고장으로 개방되면 출력전압은 양의 반주기 파형이 나타난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9번

  1. 그렇다.
  2. 그렇다.
  3. Carry-out이 1이 되려면 세 입력 중 2개 이상이 1이어야 한다. 그러한 조건을 살펴보면 Cin=0C_{in}=0이면 A=B=1A=B=1이어야 하고, Cin=1C_{in}=1이면 A=1,B=0A=1,B=0 또는 A=0,B=1A=0,B=1 또는 A=B=1A=B=1이다. 주어진 식은 이를 만족한다.
  4. 그렇다. 우선 첫 번째 반가산기로 A+BA+B를 계산하고, 두 번째 반가산기에 이 결과를 입력해서 CinC_{in}과 더한다. 이때 어느 반가산기에서든 캐리가 발생하면 최종 캐리는 1이므로 두 반가산기의 캐리 출력을 OR하면 된다.
  5. 전가산기는 자리올림수(캐리)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답은 5번 이다.

10번

QAM에 대한 설명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1번

나이퀴스트 정리에 대한 설명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2번

화이트 노이즈에 대한 설명이므로 답은 5번 이다.

13번

가장 오른쪽과 가장 왼쪽의 의 NAND 게이트들은 NOT 게이트의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Y=AB=AB=A+B\begin{equation} \begin{split} Y&=\overline{A}\cdot\overline{B}\\ &=\overline{\overline{\overline{A}\cdot\overline{B}}}\\ &=\overline{A+B}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14번

  1. 그렇다.
  2. 아스키 코드의 맨 앞 비트를 뭐라고 부르는지 잘 모르겠다. 명칭이 있으려나?
  3. 그렇다. 각 자리에 대해 가중치가 없고, 한 자리에 오류가 발생해도 그 영향이 1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강인하다.
  4. 그렇다.
  5. 그렇다.

따라서 답이 될 수 있는 것은 2번 이다.

15번

p형 반도체는 최외각 전자가 3개인 원소를 도핑해서 만든다. 이에 해당하는 것은 알루미늄, 붕소, 갈륨, 인듐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6번

총 저항은

502550=505025=2525=12.5 Ω\begin{equation} \begin{split} 50||25||50&=50||50||25\\ &=25||25\\ &=12.5\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총 전류는

9+76=10 A9+7-6=10\text{ A}

인데, 방향은 아래에서 위쪽이다. 이 전류가 위의 총 저항을 위에서 아래로 타고 내려가므로

v=12.5×10=125 V\begin{equation} \begin{split} v&=12.5\times 10\\ &=125\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또한 25 Ω\Omega 저항을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전류 ii는 위에서 구한 전압을 이 저항으로 나눈 값이므로

i=12525=5 A\begin{equation} \begin{split} i&=\frac{125}{25}\\ &=5\text{ 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17번

플립플롭은 클럭 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클럭 신호와 상관없는 것은 래치이다. 따라서 답은 5번 이다.

18번

왼쪽 2칸의 제일 위와 아래를 묶으면 BC\overline{B}\cdot\overline{C}이고, 네 귀퉁이를 묶으면 BD\overline{B}\cdot\overline{D}이다. 따라서 둘을 더하면

BD+BC\overline{B}\cdot\overline{D}+\overline{B}\cdot\overline{C}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9번

스위치 전환 전에 커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은 R3R_3에 걸리는 전압과 같으므로

Vc(0)=8×31+3=6 V\begin{equation} \begin{split} V_c(0^-)&=8\times\frac{3}{1+3}\\ &=6\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스위치 전환 후의 Vc(t)V_c(t)에 대해 식을 세워보면

8Vc(t)1=Vc(t)1+2×dVc(t)dt2Vc(t)=82×dVc(t)dtVc(t)=4dVc(t)dt\begin{equation} \begin{split} \frac{8-V_c(t)}{1}&=\frac{V_c(t)}{1}+2\times\frac{dV_c(t)}{dt}\\ \Rightarrow 2V_c(t)&=8-2\times\frac{dV_c(t)}{dt}\\ \Rightarrow V_c(t)&=4-\frac{dV_c(t)}{dt} \end{split} \end{equation}

이다. Vc(t)=Aest+BV_c(t)=Ae^{-st}+B라고 가정해서 대입하면

Aest+B=4+AsestAe^{-st}+B=4+Ase^{-st}

이므로 s=1,B=4s=1, B=4임을 알 수 있으니 Vc(t)=Aet+4V_c(t)=Ae^{-t}+4이다. 초기값을 이용하면

Vc(0)=6=A+4A=2\begin{equation} \begin{split} V_c(0^-)&=6\\ &=A+4\\ \Rightarrow A&=2 \end{split} \end{equation}

임을 알 수 있으므로

Vc(t)=2et+4V_c(t)=2e^{-t}+4

이다. 따라서

Vc(ln2)=2eln2+4=2eln12+4=2×12+4=1+4=5 V\begin{equation} \begin{split} V_c(ln 2)&=2e^{-ln 2}+4\\ &=2e^{ln\frac{1}{2}}+4\\ &=2\times\frac{1}{2}+4\\ &=1+4\\ &=5\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20번

vo=vin×11+jωωcv_o=v_{in}\times\frac{1}{1+j\frac{\omega}{\omega_c}}

이다. ω=2ωc\omega=2\omega_c이면

vo=vin×11+j2ωcωc=vin×11+j2\begin{equation} \begin{split} v_o&=v_{in}\times\frac{1}{1+j\frac{2\omega_c}{\omega_c}}\\ &=v_{in}\times\frac{1}{1+j2}\\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출력전압의 크기는 112+22=15\frac{1}{\sqrt{1^2+2^2}}=\frac{1}{\sqrt{5}}배가 된다. 따라서 입력전압의 실횻값이 5 V이면 출력전압의 실횻값은

55=5 V\frac{5}{\sqrt{5}}=\sqrt{5}\text{ V}

이므로 답은 4번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