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 PDF 파일을 로드하고 있습니다. 한참 걸릴 수도 있어요 ㅠㅠ 30초 이상 걸리면 새로고침을 한번 해보세요.

2023 7급 서울시 전기자기학

1번

Rvdl=02π(Rsinθax+Rcosθay+3az)Rdθaϕ=R202π(sin2θcos2θ)dθ=R202πdθ=2πR2\begin{equation} \begin{split} \left\vert\oint_R \vec{v}\cdot \vec{dl}\right\vert&=\left\vert\int_0 ^{2\pi}(-Rsin\theta\vec{a_x}+Rcos\theta{a_y}+3\vec{a_z})\cdot Rd\theta\vec{a_\phi}\right\vert\\ &=\left\vert R^2\int_0^{2\pi}(-sin^2\theta -cos^2\theta)d\theta\right\vert\\ &=R^2\int_0^{2\pi } d\theta\\ &=2\pi R^2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2번

A×(B×C)=B(AC)C(AB)\vec{A}\times(\vec{B}\times\vec{C})=\vec{B}(\vec{A}\cdot\vec{C})-\vec{C}(\vec{A}\cdot\vec{B})

를 이용하자.

(A×B)×CA×(B×C)=C×(A×B)A×(B×C)=A(CB)+B(CA)B(AC)+C(AB)=A(CB)+C(AB)=(2ax+ay)2+(ay+az)2=4ax+2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A}\times\vec{B})\times\vec{C}-\vec{A}\times(\vec{B}\times\vec{C})&=-\vec{C}\times(\vec{A}\times\vec{B})-\vec{A}\times(\vec{B}\times\vec{C})\\ &=-\vec{A}(\vec{C}\cdot\vec{B})+\vec{B}(\vec{C}\cdot\vec{A})-\vec{B}(\vec{A}\cdot\vec{C})+\vec{C}(\vec{A}\cdot\vec{B})\\ &=-\vec{A}(\vec{C}\cdot\vec{B})+\vec{C}(\vec{A}\cdot\vec{B})\\ &=-(2\vec{a_x}+\vec{a_y})\cdot 2+(\vec{a_y}+\vec{a_z})\cdot 2\\ &=-4\vec{a_x}+2\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3번

원형 고리의 한 점에서 점 PP 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R=R2+x2\mathcal{R}=\sqrt{R^2+x^2}

한편 대칭성에 의해서 전기장은 x방향 성분만 존재하게 될 것이며, 원형 고리의 미소 조각에 의한 전기장의 x 성분은 다음과 같다.

dEx=xR2+x214πϵ0Q2πRR2+x2axd\vec{E_x}=\frac{x}{\sqrt{R^2+x^2}}\frac{1}{4\pi \epsilon_0}\frac{\frac{Q}{2\pi R}}{R^2+x^2}\vec{a_x}

따라서 전체 2πR2\pi R에 대해서 전기장을 구하면

E=14πϵ0Qx(x2+R2)32\vec{E}=\frac{1}{4\pi \epsilon_0}\frac{Qx}{(x^2+R^2)^\frac{3}{2}}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4번

주어진 원판에서 반지름이 rr이고 폭이 drdr인 가느다란 원형 고리를 생각하자. 3번 문제로부터 이러한 고리로 인한 전기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다.

dE=14πϵ0320ϵ02πrdr(32+r2)32=30rdr(32+r2)32\begin{equation} \begin{split} dE&=\frac{1}{4\pi \epsilon_0}\frac{3\cdot 20 \epsilon_0 \cdot 2\pi r dr}{(3^2+r^2)^{\frac{3}{2}}}\\ &=\frac{30rdr}{(3^2+r^2)^\frac{3}{2}} \end{split} \end{equation}

전체 전기장의 크기는 이를 적분한 것이므로

E=0430rdr(32+r2)32drE=\int_0 ^4 \frac{30rdr}{(3^2+r^2)^\frac{3}{2}} dr

여기서

r=3tanθr=3tan\theta

로 놓으면

E=0tan143303tanθ27(1+tan2θ)323sec2θdθ=0tan14390tanθ27sec3θ3sec2θdθ=100tan143sinθdθ=10[cosθ]0tan143\begin{equation} \begin{split} E&=\int_0 ^{tan^{-1}\frac{4}{3}} \frac{30\cdot 3tan\theta}{27(1+tan^2\theta)^\frac{3}{2}}\cdot 3sec^2\theta d\theta\\ &=\int_0 ^{tan^{-1}\frac{4}{3}} \frac{90tan\theta}{27sec^3\theta}\cdot 3sec^2\theta d\theta\\ &=10\int_0 ^{tan^{-1}\frac{4}{3}} sin\theta d\theta\\ &=-10[cos\theta]_0^{tan^{-1}\frac{4}{3}} \end{split} \end{equation}

한편

α=tan143\alpha=tan^{-1}\frac{4}{3}

로 놓으면

cosα=35cos\alpha=\frac{3}{5}

이므로

E=10[cosαcos0]=10(351)=(10)(25)=4\begin{equation} \begin{split} E&=-10[cos\alpha - cos 0]\\ &=-10\left(\frac{3}{5}-1\right)\\ &=(-10)\cdot\left(-\frac{2}{5}\right)\\ &=4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러므로 답은 4번 이다.

5번

주어진 점은 원점과 선전하 위치를 이은 직선 위에 있다. 따라서 xx방향과 yy방향의 비율은 4:3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답이 될 수 있는 것은 1번과 4번이다. 한편 전계의 크기는

E=1092πϵ05=1010πϵ0\begin{equation} \begin{split} E&=\frac{10^{-9}}{2\pi \epsilon_0 \cdot 5}\\ &=\frac{10^{-10}}{\pi\epsilon_0}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6번

축전기에 저장되는 전기 에너지는 충전된 전하량 QQ가 고정일 때 다음과 같다.

We=12Q2CW_e=\frac{1}{2}\frac{Q^2}{C}
  1. ϵr>1\epsilon_r>1인 유전체를 더 깊이 집어넣을수록 CC가 커지므로 저장된 에너지는 줄어든다.
  2. 시스템은 에너지가 낮아지고 싶어한다. 그러므로 유전체는 더 깊이 들어가는, 즉 xx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정전기력을 받는다.
  3. 전압이 차단되었으므로 더이상 충방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4. V=QCV=\frac{Q}{C}
    인데 xx가 증가하면 CC가 증가하므로 전압은 감소한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7번

수직 방향 전계의 크기는

E1=10×cos30=53E_{1\perp} = 10\times cos 30^\circ=5\sqrt{3}

이고 수평 방향 전계의 크기는

E1=10×sin30=5E_{1||}=10\times sin 30^\circ = 5

이다. 경계조건에 의해

ϵ1E1=ϵ2E2E1=E2\begin{equation} \begin{split} \epsilon_1E_{1\perp}&=\epsilon_2E_{2\perp}\\ E_{1||}&=E_{2||}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E2=13×53=53E2=5E2=E22+E22=1003=103 kV/cm=1063 V/mθ2=tan1E2E2=tan1553=3=60\begin{equation} \begin{split} E_{2\perp}&=\frac{1}{3}\times 5\sqrt{3}=\frac{5}{\sqrt 3}\\ E_{2||}&=5\\ \Rightarrow E_2&=\sqrt{E_{2\perp}^2+E_{2||}^2}\\ &=\sqrt{\frac{100}{3}}\\ &=\frac{10}{\sqrt{3}}\text{ kV/cm}\\ &=\frac{10^6}{\sqrt{3}}\text{ V/m}\\ \theta_2&=tan^{-1}\frac{E_{2||}}{E_{2\perp}}\\ &=tan^{-1}\frac{5}{\frac{5}{\sqrt 3}}\\ &=\sqrt{3}\\ &=60^\circ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4번 이다.

8번

D=ϵ0E+P\vec{D}=\epsilon_0\vec{E}+\vec{P}

이다. 이 식의 의미는, 비유전율이 1이 아닌 유전체에서 자유전하가 만들어내는 전속밀도는 유전체의 분극으로 인해 감소하므로, 이를 보상해주어야 실제 자유전하로 인한 전속밀도가 나온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유공간이라고 가정하였을 때의 전속밀도 ϵ0E\epsilon_0\vec{E}에다가 분극으로 인해 감소하는 전속밀도 P\vec{P}를 더해주는 것이다. 아무튼 주어진 조건을 대입하면

1.2P=ϵ0E+P0.2P=ϵ0E\begin{equation} \begin{split} 1.2\vec{P}&=\epsilon_0\vec{E}+\vec{P}\\ \Rightarrow 0.2\vec{P}&=\epsilon_0\vec{E} \end{split} \end{equation}

인데,

D=1.2P=ϵ0ϵrE\begin{equation} \begin{split} \vec{D}&=1.2\vec{P}\\ &=\epsilon_0\epsilon_r\vec{E}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마지막 식을 그 전의 식으로 나눠주면

ϵr=6\epsilon_r=6

이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9번

영상 전하법을 이용하자. 그러면 반대편에 Q-Q인 전하가 위치한다. 이 전하로부터 PP까지의 거리는 3d2\frac{3d}{2}이므로 그 전기장의 크기는

E1=Q4πϵ0(3d2)2=Q9πϵ0d2\begin{equation} \begin{split} E_1&=\frac{Q}{4\pi\epsilon_0 \cdot \left(\frac{3d}{2}\right)^2}\\ &=\frac{Q}{9\pi\epsilon_0 d^2} \end{split} \end{equation}

이고 방향은 왼쪽이다. 다음으로 +Q+Q에 의한 전기장을 구하자.

E2=Q4πϵ0(d2)2=Qπϵ0d2\begin{equation} \begin{split} E_2&=\frac{Q}{4\pi\epsilon_0 \cdot \left(\frac{d}{2}\right)^2}\\ &=\frac{Q}{\pi \epsilon_0 d^2} \end{split} \end{equation}

이고 방향은 마찬가지로 왼쪽이다. 두 전기장의 방향이 같으므로 그냥 더하면 된다. 계산하면

E=E1+E2=Q9πϵ0d2+Qπϵ0d2=10Q9πϵ0d2\begin{equation} \begin{split} E&=E_1+E_2\\ &=\frac{Q}{9\pi\epsilon_0 d^2}+\frac{Q}{\pi \epsilon_0 d^2}\\ &=\frac{10Q}{9\pi\epsilon_0 d^2}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0번

점대칭 위치에서 전류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도선들에 의한 자계는 상쇄된다. 따라서 P1,P6P_1, P_6 도선끼리, P2,P5P_2,P_5 도선끼리는 상쇄되고 남은 것은 P3,P4P_3, P_4 도선이다. 무한 도선에 의한 자계를 구하기 위해 앙페르 법칙을 적용하자. 원형 대칭성이 있으므로 다음과 같다.

Hdl=I2πρH=IH=I2πρ\begin{equation} \begin{split} \oint \vec{H}\cdot \vec{dl}&=I\\ \Rightarrow 2\pi \rho H&=I\\ \Rightarrow H&=\frac{I}{2\pi \rho} \end{split} \end{equation}

P3P_3 또는 P4P_4에서 원점까지의 거리는 ρ=2\rho=2 m이므로 위 식에 대입하면 그 크기는

H=I4πH=\frac{I}{4\pi}

가 된다. 자계의 방향은 둘다 +x+x 방향이므로 자계의 크기는 2배가 되고 벡터로는

H=I2πax\vec{H}=\frac{I}{2\pi}\vec{a_x}

가 된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11번

중심으로부터 ρ\rho만큼 떨어진 곳에서 aϕ\vec{a_\phi}방향으로 흐르는 미소선분 dld\vec{l}은 다음과 같다.

dl=ρdϕaϕd\vec{l}=\rho d\phi\vec{a_\phi}

이 미소선분을 따라 흐르는 전류 II로 인해 흐르는 미소 자계는 다음과 같다.

dH=Idl×aR4πρ2=Iρdϕaϕ×(aρ)4πρ2=Idϕ4πρaz\begin{equation} \begin{split} d\vec{H}&=\frac{Id\vec{l}\times\vec{a_R}}{4\pi\rho^2}\\ &=\frac{I \rho d\phi \vec{a_\phi}\times(-\vec{a_\rho})}{4\pi \rho^2}\\ &=\frac{I d\phi}{4\pi \rho} \vec{a_z} \end{split} \end{equation}

ρ=a=3\rho=a=3 cm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로 인해 생기는 자계는 다음과 같다.

Ha=0π42.44π3×102dϕaz=20ππ4az=5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H_a}&=\int_{0} ^{\frac{\pi}{4}} \frac{2.4}{4\pi\cdot 3\times 10^{-2}}d\phi\vec{a_z}\\ &=\frac{20}{\pi}\cdot\frac{\pi}{4}\vec{a_z}\\ &=5\vec{a_z} \end{split} \end{equation}

다음으로 ρ=b=6\rho=b=6 cm 도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로 인해 생기는 자계는 다음과 같다.

Hb=π402.44π6×102dϕaz=2.5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H_b}&=\int_{\frac{\pi}{4}}^0\frac{2.4}{4\pi\cdot 6\times 10^{-2}}d\phi\vec{a_z}\\ &=-2.5\vec{a_z} \end{split} \end{equation}

따라서 총 자기장은

H=Ha+Hb=(52.5)az=2.5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H}&=\vec{H_a}+\vec{H_b}\\ &=(5-2.5)\vec{a_z}\\ &=2.5\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2번

자기 모멘트와 자기장에 의한 토크는

τ=m×B\vec{\tau}=\vec{m}\times\vec{B}

이다. 그리고 자기모멘트는

m=IdS=3π(102)2(az)=3π×104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m}&=Id\vec{S}\\ &=3\cdot \pi\cdot (10^2)^2(-\vec{a_z})\\ &=-3\pi\times 10^4\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토크를 계산하면

τ=3π×104×4π×107×50π2(az×ax)=0.6ay\begin{equation} \begin{split} \vec{\tau}&=-3\pi \times 10^4\times4\pi\times 10^{-7}\times\frac{50}{\pi^2}(\vec{a_z}\times\vec{a_x})\\ &=-0.6\vec{a_y}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3번

자기장이 전류에 가하는 단위길이당 힘인 로렌츠 힘은

Fl=q(v×B)=Ial×B=20×10×4π×1072π105×102az×aϕ\begin{equation} \begin{split} \vec{F_l}&=q(\vec{v}\times\vec{B})\\ &=I\vec{a_l}\times\vec{B}\\ &=20\times\frac{10\times 4\pi\times 10^{-7}}{2\pi\cdot 10\sqrt{5}\times 10^{-2}}\vec{a_z}\times\vec{a_\phi} \end{split} \end{equation}

한편

aϕ=sinθaxcosθay\vec{a_\phi}=sin\theta\vec{a_x}-cos\theta\vec{a_y}

인데, θ=AOC\theta=-\angle AOC에서 sinθ=15,cosθ=25sin\theta=-\frac{1}{\sqrt{5}},cos\theta=\frac{2}{\sqrt{5}}이다. θ=BOC\theta=\angle BOC에 대해서는 사인은 반대 부호이고 코사인은 같은 값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두 도선에 의한 힘을 더하는 과정에서 반대 부호인 사인은 사라지고 코사인만 2배가 되어 남을 것이다. 정리하면

Fl,total=20×10×4π×1072π105az×(225×102ay)=320×106ax\begin{equation} \begin{split} \vec{F_{l,total}}&=20\times\frac{10\times 4\pi\times 10^{-7}}{2\pi\cdot 10\sqrt{5}}\vec{a_z}\times\left(-2\cdot \frac{2}{\sqrt{5}\times 10^{-2}}\vec{a_y}\right)\\ &=320\times 10^{-6}\vec{a_x}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4번

자기 저항은 투자율에 반비례, 길이에 비례,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R=20×102×2π5000×4π×107×2×104=106\begin{equation} \begin{split} \mathcal{R}&=\frac{20\times 10^{-2}\times 2\pi}{5000\times 4\pi \times 10^{-7}\times 2\times 10^{-4}}\\ &=10^{6}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1차측 전류로 인해 생기는 자속은

Φ=N1i1R=300×4sin(3t220t)106\begin{equation} \begin{split} \Phi&=\frac{N_1i_1}{\mathcal{R}}\\ &=\frac{300\times 4sin(3t^2-20t)}{10^6}\\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로부터 2차 측에 t=0t=0일 때 생기는 유도 기전력은

emf=N2dΦdt=100×300×106×4×(6t20)×cos(3t220t)t=0=24×101=2.4 V\begin{equation} \begin{split} emf&=-N_2\frac{d\Phi}{dt}\\ &=-100\times 300 \times 10^{-6}\times 4\times (6t-20)\times cos(3t^2-20t)|_{t=0}\\ &=24\times 10^{-1}\\ &=2.4\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5번

자기 에너지는

Wm=12B2μdv=12102×10×1061000×4π×107=54π\begin{equation} \begin{split} W_m&=\oiiint\frac{1}{2}\frac{B^2}{\mu}dv\\ &=\frac{1}{2}\frac{10^2\times 10\times 10^{-6}}{1000\times 4\pi\times 10^{-7}}\\ &=\frac{5}{4\pi}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6번

  1. zz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동인데, 진행해도 삼각함수의 위상만 바뀔 뿐 그 진폭이 줄어들지 않는다. 따라서 무손실 유전체이다.
  2. ω=4×1014π\omega=4\times 10^{14}\pi
    이고
    β=2×106π\beta=2\times10^6\pi
    이므로 위상속도는
    vp=1μϵ=ωβ=20×108 m/sv_p=\frac{1}{\sqrt{\mu \epsilon}}=\frac{\omega}{\beta}=20\times 10^8\text{ m/s}
    이다.
  3. xx성분과 yy성분의 위상차가 9090^\circ 나고 있다. 따라서 원형 편파이다.

그러므로 답은 4번 이다.

17번

주어진 조건에서 전도전류밀도는

Jc=σE=6×107EJ_c=\sigma E=6\times 10^7 E

그리고

ω=2πf=120π\omega=2\pi f=120\pi

이므로 변위전류밀도는

Jd=ωϵE=13×108EJ_d=\omega\epsilon E=\frac{1}{3}\times 10^{-8}E

이다. 따라서 전도전류밀도는 변위전류밀도에 비해

6×10713×108=1.8×1016\frac{6\times 10^7}{\frac{1}{3}\times 10^{-8}}=1.8\times 10^{16}

배 크므로 답은 4번 이다.

18번

먼저 Zc2Z_{c2} 왼쪽에서 본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다.

Zeq,2=Zc2ZL+jZc2tan(βλ4)Zc2+jZLtan(βλ4)=Zc2ZL+jZc2tan(2πλλ4)Zc2+jZLtan(2πλλ4)=Zc22ZL40012.5=32 Ω\begin{equation} \begin{split} Z_{eq,2}&=Z_{c2}\frac{Z_{L}+jZ_{c2}tan\left(\beta\frac{\lambda}{4}\right)} {Z_{c2}+jZ_{L}tan\left(\beta\frac{\lambda}{4}\right)}\\ &=Z_{c2}\frac{Z_L+jZ_{c2}tan\left(\frac{2\pi}{\lambda}\frac{\lambda}{4}\right)} {Z_{c2}+jZ_{L}tan\left(\frac{2\pi}{\lambda}\frac{\lambda}{4}\right)}\\ &=\frac{Z_{c2}^2}{Z_{L}}\\ \Rightarrow \frac{400}{12.5}&=32\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 임피던스와 Zc1Z_{c1}으로 이루어진 임피던스 변환기의 임피던스가 ZcZ_c와 같으므로

Zc=Zc12Zeq,2Zc1=ZcZeq,2=50×32=1600=40 Ω\begin{equation} \begin{split} Z_c&=\frac{Z_{c1}^2}{Z_{eq,2}}\\ \Rightarrow Z_{c1}&=\sqrt{Z_cZ_{eq,2}}\\ &=\sqrt{50\times 32}\\ &=\sqrt{1600}\\ &=40\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9번

손실탄젠트는

tanδ=σωϵ0ϵr=5×10340π×106×10936π×80=458000.056\begin{equation} \begin{split} tan\delta &=\frac{\sigma}{\omega \epsilon_0 \epsilon_r}\\ &=\frac{5\times 10^{-3}}{40\pi\times 10^6 \times \frac{10^{-9}}{36\pi}\times 80}\\ &=\frac{45}{800}\\ &\approx 0.056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분모가 1000보다 약간 작으니 0.045보다 약간 큰 값을 고르면 된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20번

B=×A=1rsinθ(θ(Aϕsinθ)ϕAθ)ar+1r(1sinθArϕr(rAϕ))aθ+1r(r(rAθ)Arθ)aϕ=1rsinθθ(μ0Ib24r2sin2θ)ar+1r(r(μ0Ib24rsinθ))aθ=1rsinθμ0Ib24r22sinθcosθar+1rμ0Ib24r2sinθaθ=μ0Ib24r3(ar2cosθ+aθsinθ)\begin{equation} \begin{split} \vec{B}&=\nabla\times\vec{A}\\ &=\frac{1}{rsin\theta}\left(\frac{\partial}{\partial\theta}(A_\phi sin\theta)-\frac{\partial }{\partial\phi}A_\theta \right) \vec{a_r}+\frac{1}{r}\left(\frac{1}{sin\theta}\frac{\partial A_r}{\partial \phi} -\frac{\partial}{\partial r}(rA\phi) \right)\vec{a_\theta}+\frac{1}{r}\left(\frac{\partial}{\partial r}(rA_\theta)-\frac{\partial A_r}{\partial\theta} \right)\vec{a_\phi}\\ &=\frac{1}{rsin\theta}\frac{\partial}{\partial\theta}\left(\frac{\mu_0Ib^2}{4r^2}sin^2\theta \right)\vec{a_r}+\frac{1}{r}\left(-\frac{\partial}{\partial r}\left(\frac{\mu_0Ib^2}{4r}sin\theta \right) \right)\vec{a_\theta}\\ &=\frac{1}{rsin\theta}\frac{\mu_0Ib^2}{4r^2}\cdot 2sin\theta cos\theta \vec{a_r}+\frac{1}{r}\frac{\mu_0Ib^2}{4r^2}sin\theta\vec{a_\theta}\\ &=\frac{\mu_0Ib^2}{4r^3}(\vec{a_r}2\cos\theta+\vec{a_\theta}sin\theta)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