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7급 국가직 전기자기학 1번 그렇지 않다. D ⃗ ⊥ \vec{D}_{\bot} D ⊥ 가 연속이다. 그렇지 않다. E ⃗ ∥ \vec{E}_{\parallel} E ∥ 가 연속이다. 그렇다. 완전 도체에는 전계가 없기 때문에, 연속적인 값을 갖는 전계의 접선 성분은 0이다. 그렇지 않다. 전속밀도의 법선 성분이 도체상의 표면전하밀도와 같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2번 일단 B나 D는 아닐 것이다. 로렌츠 힘은 F = q v ⃗ × B ⃗ F=q\vec{v}\times\vec{B} F = q v × B 이고, q v ⃗ q\vec{v} q v 는 전류 방향과 같다. 사각형의 왼쪽 도선에서 전류는 위쪽으로 흐르므로, 로렌츠 힘을 구해보면 C 방향으로 힘을 받음을 외적 관계에서 알 수 있다.
오른쪽 도선에서는 A 방향으로 힘을 받겠지만 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왼쪽 도선의 C 방향으로 밀리는 힘이 더 강하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3번 특성 임피던스는 유전율과 투자율로부터 정해지는 상수이다. 감쇄 상수는 0이지만 특성 임피던스는 0이 아닐 것이다. 위상 속도는 v p = ω β = ω ω μ ε = 1 μ ε v_p=\frac{\omega}{\beta}=\frac{\omega}{\omega\sqrt{\mu\varepsilon}}=\frac{1}{\sqrt{\mu\varepsilon}} v p = β ω = ω μ ε ω = μ ε 1 이다. 위상 상수는 β = ω μ ε = 2 π f μ ε \beta=\omega\sqrt{\mu\varepsilon}=2\pi f\sqrt{\mu\varepsilon} β = ω μ ε = 2 π f μ ε 이다. 따라서 답은 4번 이다.
4번 A는 오른쪽 도선들에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한다. B는 A에게 지면을 뚫고 나오는 방향으로, C에게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한다. C는 왼쪽 도선들에게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가한다.
따라서 B는 양쪽에서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자기력을 받고, A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두 자기력을 받고, C는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합쳐지는 자기력을 받는데 A와 C 사이의 거리가 A와 B 사이의 거리보다 멀기 때문에 B보다는 약한 자기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5번 e m f = − d Φ ( t ) d t emf=-\frac{d\Phi(t)}{dt} e m f = − d t d Φ ( t ) 이다. 이 때 emf가 +인 경우는 전류 방향이 그림과 반대 방향인 경우이다. 따라서 emf가 -인 구간, 즉 A와 D에서 전류가 +가 된다. 그러므로 답은 4번 이다.
6번 Z i n = Z 0 Z L + j Z 0 t a n ( β l ) Z 0 + j Z L t a n ( β l ) Z_{in}=Z_0\frac{Z_L+jZ_0tan(\beta l)}{Z_0+jZ_Ltan(\beta l)} Z in = Z 0 Z 0 + j Z L t an ( βl ) Z L + j Z 0 t an ( βl ) 이다. Z 0 Z_0 Z 0 과 Z L Z_L Z L 이 헷갈릴텐데, l = 0 l=0 l = 0 이면 Z i n = Z L Z_{in}=Z_L Z in = Z L 임이 당연함을 기억하면 보다 쉽게 식을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탄젠트는 무한대로 발산하므로 Z i n = Z 0 2 Z L Z_{in}=\frac{Z_0^2}{Z_L} Z in = Z L Z 0 2 이다. Z L = 0 Z_L=0 Z L = 0 인 경우이므로 Z i n = j Z 0 t a n ( β l ) Z_{in}=jZ_0tan(\beta l) Z in = j Z 0 t an ( βl ) 이다.Z L = ∞ Z_L=\infty Z L = ∞ 인 경우이므로 Z i n = Z 0 × 1 j t a n ( β l ) = − j Z 0 c o t ( β l ) Z_{in}=Z_0\times\frac{1}{jtan(\beta l)}=-jZ_0cot(\beta l) Z in = Z 0 × j t an ( βl ) 1 = − j Z 0 co t ( βl ) 이다.Z L = Z 0 Z_L=Z_0 Z L = Z 0 인 경우이므로 Z i n = Z 0 Z_{in}=Z_0 Z in = Z 0 이다.따라서 답은 1번 이다.
7번 ∇ × B ⃗ = μ 0 ( J ⃗ + J b ⃗ ) ⇒ a z ⃗ 10 = μ 0 ( J ⃗ + J b ⃗ ) \begin{equation} \begin{split} \nabla\times\vec{B}&=\mu_0(\vec{J}+\vec{J_b})\\ \Rightarrow \vec{a_z}10&=\mu_0(\vec{J}+\vec{J_b}) \end{split} \end{equation} ∇ × B ⇒ a z 10 = μ 0 ( J + J b ) = μ 0 ( J + J b ) 이다. 그리고
∇ × H ⃗ = J ⃗ \nabla\times\vec{H}=\vec{J} ∇ × H = J 이며
H ⃗ = 1 μ B ⃗ = 1 5 μ 0 a y ⃗ 10 x = a y ⃗ 2 x μ 0 \begin{equation} \begin{split} \vec{H}&=\frac{1}{\mu}\vec{B}\\ &=\frac{1}{5\mu_0}\vec{a_y}10x\\ &=\vec{a_y}\frac{2x}{\mu_0} \end{split} \end{equation} H = μ 1 B = 5 μ 0 1 a y 10 x = a y μ 0 2 x 이다. 따라서
J ⃗ = ∇ × a y ⃗ 2 x μ 0 = a z ⃗ 2 μ 0 \begin{equation} \begin{split} \vec{J}&=\nabla\times\vec{a_y}\frac{2x}{\mu_0}\\ &=\vec{a_z}\frac{2}{\mu_0} \end{split} \end{equation} J = ∇ × a y μ 0 2 x = a z μ 0 2 이다. 이를 대입하면
a z ⃗ 10 = a z ⃗ 2 + μ 0 J b ⃗ ⇒ J b ⃗ = a z ⃗ 8 μ 0 \begin{equation} \begin{split} \vec{a_z}10&=\vec{a_z}2+\mu_0\vec{J_b}\\ \Rightarrow \vec{J_b}&=\vec{a_z}\frac{8}{\mu_0} \end{split} \end{equation} a z 10 ⇒ J b = a z 2 + μ 0 J b = a z μ 0 8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사실 계산 안하고도 B ⃗ \vec{B} B 가 a y ⃗ \vec{a_y} a y 방향이며 x x x 가 증가할수록 커지니 회전 방향축은 a x ⃗ × a y ⃗ = a z ⃗ \vec{a_x}\times\vec{a_y}=\vec{a_z} a x × a y = a z 방향임을 추론할 수 있다.
8번 k = 4 2 + k Z 2 k=\sqrt{4^2+k_Z^2} k = 4 2 + k Z 2 이고
k = ω μ ε k=\omega\sqrt{\mu\varepsilon} k = ω μ ε 이다. 한편
1 μ ε = 1 μ 0 × 9 × ε 0 = 1 3 × 3 × 1 0 8 = 1 0 8 ⇒ μ ε = 1 0 − 8 \begin{equation} \begin{split} \frac{1}{\sqrt{\mu\varepsilon}}&=\frac{1}{\sqrt{\mu_0\times 9\times \varepsilon_0}}\\ &=\frac{1}{3}\times 3\times 10^8\\ &=10^8\\ \Rightarrow \sqrt{\mu\varepsilon}&=10^{-8} \end{split} \end{equation} μ ε 1 ⇒ μ ε = μ 0 × 9 × ε 0 1 = 3 1 × 3 × 1 0 8 = 1 0 8 = 1 0 − 8 이다. 그리고 ω = 5 × 1 0 8 \omega=5\times10^8 ω = 5 × 1 0 8 이므로
k = 5 × 1 0 8 × 1 0 − 8 = 5 ⇒ 4 2 + k z 2 = 5 ⇒ k z = 3 \begin{equation} \begin{split} k&=5\times10^8\times10^{-8}\\ &=5\\ \Rightarrow \sqrt{4^2+k_z^2}&=5\\ \Rightarrow k_z&=3 \end{split} \end{equation} k ⇒ 4 2 + k z 2 ⇒ k z = 5 × 1 0 8 × 1 0 − 8 = 5 = 5 = 3 이고 답은 1번 이다.
9번 면전하밀도에 의한 전계는 x x x 의 양쪽으로 절반씩 뻗어나가는 것이므로 원점에서는
− a x ⃗ 3 × 1 0 − 9 2 ε 0 -\vec{a_x}\frac{3\times10^{-9}}{2\varepsilon_0} − a x 2 ε 0 3 × 1 0 − 9 이다. 다음으로 선전하밀도에 의한 전계는 일반적으로
ρ l 2 π ε R a R ⃗ \frac{\rho_l}{2\pi\varepsilon \mathcal{R} }\vec{a_\mathcal{R}} 2 π ε R ρ l a R 인데 주어진 조건에서
a x ⃗ 6 × 1 0 − 9 2 π ε 0 × 2 = a x ⃗ 3 × 1 0 − 9 2 π ε 0 \vec{a_x}\frac{6\times 10^{-9}}{2\pi \varepsilon_0\times2}=\vec{a_x}\frac{3\times 10^{-9}}{2\pi\varepsilon_0} a x 2 π ε 0 × 2 6 × 1 0 − 9 = a x 2 π ε 0 3 × 1 0 − 9 이다. 따라서 둘을 더하면
− a x ⃗ 3 × 1 0 − 9 2 ε 0 + a x ⃗ 3 × 1 0 − 9 2 π ε 0 = − a x ⃗ 3 × 1 0 − 9 2 ε 0 ( 1 − 1 π ) -\vec{a_x}\frac{3\times10^{-9}}{2\varepsilon_0}+\vec{a_x}\frac{3\times 10^{-9}}{2\pi\varepsilon_0}=-\vec{a_x}\frac{3\times10^{-9}}{2\varepsilon_0}\left(1-\frac{1}{\pi} \right) − a x 2 ε 0 3 × 1 0 − 9 + a x 2 π ε 0 3 × 1 0 − 9 = − a x 2 ε 0 3 × 1 0 − 9 ( 1 − π 1 )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10번 τ ⃗ = m ⃗ × B ⃗ \vec{\tau}=\vec{m}\times\vec{B} τ = m × B 이다. 그리고
m ⃗ = π a 2 I a z ⃗ \vec{m}=\pi a^2 I\vec{a_z} m = π a 2 I a z 이므로
τ = π a 2 I ⋅ B ⋅ s i n 3 0 ∘ = π a 2 I B 2 \begin{equation} \begin{split} \tau&=\pi a^2 I \cdot B \cdot sin 30^\circ\\ &=\frac{\pi a^2 I B}{2} \end{split} \end{equation} τ = π a 2 I ⋅ B ⋅ s in 3 0 ∘ = 2 π a 2 I B 이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11번 ρ v ( 1 , 1 , 1 ) = ∇ ⋅ D ⃗ ∣ ( 1 , 1 , 1 ) = ( 2 z ) ∣ ( 1 , 1 , 1 ) = 2 \begin{equation} \begin{split} \rho_v(1,1,1)&=\nabla\cdot\vec{D}|_{(1,1,1)}\\ &=(2z)|_{(1,1,1)}\\ &=2 \end{split} \end{equation} ρ v ( 1 , 1 , 1 ) = ∇ ⋅ D ∣ ( 1 , 1 , 1 ) = ( 2 z ) ∣ ( 1 , 1 , 1 ) = 2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12번 전계와 자계의 위상차는 ∠ ( 1 + j ) = 4 5 ∘ \angle (1+j)=45^\circ ∠ ( 1 + j ) = 4 5 ∘ 이다. 고유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가 똑같이 1이므로 액체는 양도체, 즉 전기 전도도가 0보다 크다. 전계와 자계는 항상 수직을 이룬다. 위상이 수직이 아닌 것이다. 표피 효과에 의해 1 π f μ σ \frac{1}{\sqrt{\pi f \mu \sigma}} π f μ σ 1 의 지수부를 갖는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13번 껍질 정리에 의해서 z z z 축상에서 a z ⃗ \vec{a_z} a z 방향으로 5 × 2 π × 1 = 10 π 5\times 2\pi\times 1=10\pi 5 × 2 π × 1 = 10 π A의 전류가 흐르는 것과 마찬가지 상황이다. 따라서 점 P P P 에서의 자속밀도는
B ⃗ = μ 0 × 10 π 2 π × 5 a ⃗ a ϕ ⃗ \vec{B}=\frac{\mu_0 \times 10\pi}{2\pi \times 5}\vec{a}\vec{a_\phi} B = 2 π × 5 μ 0 × 10 π a a ϕ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4번 S ⃗ = E ⃗ × H ⃗ \vec{S}=\vec{E}\times\vec{H} S = E × H 이다. 주어진 그림에서 위 외적의 방향은 − x -x − x 방향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5번 왼쪽 도선에서의 거리가 1이고 전류는 2이다. 이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거리가 4배인 오른쪽 도선의 전류 또한 4배여야 하고, 방향은 같아야 한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6번 길이 l = 2 l=2 l = 2 이다. 그리고
Z 0 = L / l C / l = 4 × 1 0 − 6 100 × 1 0 − 12 = 4 × 1 0 4 = 200 Ω \begin{equation} \begin{split} Z_0&=\sqrt{\frac{L/l}{C/l}}\\ &=\sqrt{\frac{4\times 10^{-6}}{100\times10^{-12}}}\\ &=\sqrt{4\times10^4}\\ &=200\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Z 0 = C / l L / l = 100 × 1 0 − 12 4 × 1 0 − 6 = 4 × 1 0 4 = 200 Ω 이고
β = ω L C / l 2 = 1 0 7 × 2 π × 4 × 1 0 − 6 × 100 × 1 0 − 12 / 4 = 1 0 7 × 2 π × 10 × 1 0 − 9 = 0.2 π rad/m \begin{equation} \begin{split} \beta&=\omega\sqrt{LC/l^2}\\ &=10^7\times2\pi\times\sqrt{4\times10^{-6}\times100\times10^{-12}/4}\\ &=10^7\times 2\pi \times 10\times 10^{-9}\\ &=0.2\pi\text{ rad/m} \end{split} \end{equation} β = ω L C / l 2 = 1 0 7 × 2 π × 4 × 1 0 − 6 × 100 × 1 0 − 12 /4 = 1 0 7 × 2 π × 10 × 1 0 − 9 = 0.2 π rad/m 이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단위길이당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를 이용해야 함에 주의하자.
17번 시간평균 전력밀도는
< S > = 1 2 E H \lt S \gt =\frac{1}{2}EH < S >= 2 1 E H 이다. 그리고
v p = ω β = 1 0 8 1 / 2 = 2 × 1 0 8 = 1 μ 0 ε 0 ε r ⇒ ε r = 9 × 1 0 16 4 × 1 0 16 = 9 4 ⇒ η = μ 0 ε = 120 π × 1 ε = 120 π × 2 3 = 80 π \begin{equation} \begin{split} v_p&=\frac{\omega}{\beta}\\ &=\frac{10^8}{1/2}\\ &=2\times10^8\\ &=\frac{1}{\sqrt{\mu_0\varepsilon_0\varepsilon_r}}\\ \Rightarrow \varepsilon_r&=\frac{9\times10^{16}}{4\times10^{16}}\\ &=\frac{9}{4}\\ \Rightarrow \eta&=\sqrt{\frac{\mu_0}{\varepsilon}}\\ &=120\pi\times\frac{1}{\sqrt{\varepsilon}}\\ &=120\pi\times\frac{2}{3}\\ &=80\pi \end{split} \end{equation} v p ⇒ ε r ⇒ η = β ω = 1/2 1 0 8 = 2 × 1 0 8 = μ 0 ε 0 ε r 1 = 4 × 1 0 16 9 × 1 0 16 = 4 9 = ε μ 0 = 120 π × ε 1 = 120 π × 3 2 = 80 π 이므로
H = E η = 4 80 π = 1 20 π ⇒ < S > = 1 2 × 4 × 1 20 π = 1 10 π W/m 2 \begin{equation} \begin{split} H&=\frac{E}{\eta}\\ &=\frac{4}{80\pi}\\ &=\frac{1}{20\pi}\\ \Rightarrow \lt S \gt &=\frac{1}{2}\times4\times\frac{1}{20\pi}\\ &=\frac{1}{10\pi}\text{ W/m}^2 \end{split} \end{equation} H ⇒< S > = η E = 80 π 4 = 20 π 1 = 2 1 × 4 × 20 π 1 = 10 π 1 W/m 2 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8번 주어진 전기장의 특징을 이용한 풀이∇ × E ⃗ = ∣ a x ⃗ a y ⃗ a z ⃗ ∂ ∂ x ∂ ∂ y ∂ ∂ z y x 0 ∣ = 0 ⃗ \begin{equation} \begin{split} \nabla\times\vec{E}&=\begin{vmatrix} \vec{a_x}&\vec{a_y}&\vec{a_z}\\ \frac{\partial}{\partial x}&\frac{\partial}{\partial y}&\frac{\partial}{\partial z}\\ y&x&0 \end{vmatrix}\\ &=\vec{0} \end{split} \end{equation} ∇ × E = ∣ ∣ a x ∂ x ∂ y a y ∂ y ∂ x a z ∂ z ∂ 0 ∣ ∣ = 0 이므로 이 전기장은 보존장이다. 따라서 주어진 경로와 상관없이 먼저 x x x 방향으로 움직인 다음 y y y 방향으로 움직이는 등으로 계산해도 된다.
x x x 방향으로 -1에서 2까지 3만큼 움직일 때 y = 2 y=2 y = 2 로 고정이므로 전기장은 E ⃗ = a x ^ 2 + a y ^ x \vec{E}=\hat{a_x}2+\hat{a_y}x E = a x ^ 2 + a y ^ x 이고, x방향으로만 움직이므로 y방향 성분은 무시된다.
따라서 이 때의 전위차는− 2 × 3 = − 6 V -2\times3=-6 \text{ V} − 2 × 3 = − 6 V 이다. 다음으로 y y y 방향으로 2에서 8까지 6만큼 움직일 때 x = 2 x=2 x = 2 이므로 전기장은 E ⃗ = a x ^ y + y ^ 2 \vec{E}=\hat{a_x}y+\hat{_y}2 E = a x ^ y + y ^ 2 이므로 이 때의 전위차를 구하면− 2 × 6 = − 12 V -2\times 6=-12 \text{ V} − 2 × 6 = − 12 V 이다. 따라서 총 전위차는 − 18 V -18 \text{ V} − 18 V 이므로 전하량 − 3 C -3 \text { C} − 3 C 를 곱하면( − 18 ) × ( − 3 ) = 54 J (-18)\times(-3)=54\text{ J} ( − 18 ) × ( − 3 ) = 54 J 이다. 직접 선적분을 하는 풀이\
매개변수 t t t 를 이용하여 x , y x,y x , y 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자.x = t y = 2 t 2 \begin{equation} \begin{split} x&=t\\ y&=2t^2 \end{split} \end{equation} x y = t = 2 t 2 주어진 경로는 t 1 = − 1 t_1=-1 t 1 = − 1 에서 t 2 = 2 t_2=2 t 2 = 2 까지 이동하는 경로이다.
t t t 를 이용하여 전기장을 표현하면E ⃗ = a x ^ 2 t 2 + a y ^ t \vec{E}=\hat{a_x}2t^2+\hat{a_y}t E = a x ^ 2 t 2 + a y ^ t 이다. 그리고d x = d t d y = 4 t d t \begin{equation} \begin{split} dx&=dt\\ dy&=4tdt \end{split} \end{equation} d x d y = d t = 4 t d t 이므로, 미소길이벡터는d l ⃗ = d x a x ^ + d y a y ^ + d z a z ^ = d t a x ^ + 4 t d t a y ^ \begin{equation} \begin{split} d\vec{l}&=dx\hat{a_x}+dy\hat{a_y}+dz\hat{a_z}\\ &=dt\hat{a_x}+4tdt\hat{a_y} \end{split} \end{equation} d l = d x a x ^ + d y a y ^ + d z a z ^ = d t a x ^ + 4 t d t a y ^ 이다.
이들로부터 전위차를 구하면V = − ∫ t 1 t 2 E ⃗ ⋅ d l ⃗ = − ∫ − 1 2 ( a x ^ 2 t 2 + a y ^ t ) ⋅ ( d t a x ^ + 4 t d t a y ^ ) = − ∫ − 1 2 ( 2 t 2 + 4 t 2 ) d t = − ∫ − 1 2 6 t 2 d t = − [ 2 t 3 ] − 1 2 = − ( 16 + 2 ) = − 18 V \begin{equation} \begin{split} V&=-\int_{t_1}^{t_2} \vec{E}\cdot d\vec{l}\\ &=-\int _{-1}^{2} \left(\hat{a_x}2t^2+\hat{a_y}t\right)\cdot\left(dt\hat{a_x}+4tdt\hat{a_y}\right)\\ &=-\int _{-1}^{2}\left(2t^2+4t^2\right)dt\\ &=-\int_{-1}^{2}6t^2dt\\ &=-\left[2t^3\right]_{-1}^{2}\\ &=-(16+2)\\ &=-18\text{ V} \end{split} \end{equation} V = − ∫ t 1 t 2 E ⋅ d l = − ∫ − 1 2 ( a x ^ 2 t 2 + a y ^ t ) ⋅ ( d t a x ^ + 4 t d t a y ^ ) = − ∫ − 1 2 ( 2 t 2 + 4 t 2 ) d t = − ∫ − 1 2 6 t 2 d t = − [ 2 t 3 ] − 1 2 = − ( 16 + 2 ) = − 18 V 이다. 여기에 전하량 -3을 곱하면 필요한 일은W = ( − 18 ) × ( − 3 ) = 54 J W=(-18)\times(-3)=54\text{ J} W = ( − 18 ) × ( − 3 ) = 54 J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19번 전체 커패시터는 위치 z z z , 미소간격 d z dz d z , 유전율 ε 0 ( 2 + z d ) \varepsilon_0\left(2+\frac{z}{d}\right) ε 0 ( 2 + d z ) 인 미소 커패시터가 직렬 연결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미소 커패시턴스는
d C = e 0 ( 2 + z d ) S d z dC=e_0\left(2+\frac{z}{d}\right)\frac{S}{dz} d C = e 0 ( 2 + d z ) d z S 이다. 커패시터들이 직렬 연결되면 전체 커패시턴스는 각 커패시턴스의 역수의 합의 역수이므로
C = 1 ∫ d C = 1 ∫ − d d d z ε 0 ( 2 + z d ) S = 1 ∫ 1 3 d d z ~ ε 0 S z ~ = ε 0 S d ⋅ 1 ∫ 1 3 d z ~ z ~ = ε 0 S d l n 3 \begin{equation} \begin{split} C&=\frac{1}{\int dC}\\ &=\frac{1}{\int_{-d}^{d}\frac{dz}{\varepsilon_0\left(2+\frac{z}{d}\right)S}}\\ &=\frac{1}{\int_1 ^3 \frac{d d\tilde{z}}{\varepsilon_0S\tilde{z}}}\\ &=\frac{\varepsilon_0S}{d}\cdot\frac{1}{\int_1 ^3 \frac{d\tilde{z}}{\tilde{z}}}\\ &=\frac{\varepsilon_0S}{dln3} \end{split} \end{equation} C = ∫ d C 1 = ∫ − d d ε 0 ( 2 + d z ) S d z 1 = ∫ 1 3 ε 0 S z ~ dd z ~ 1 = d ε 0 S ⋅ ∫ 1 3 z ~ d z ~ 1 = d l n 3 ε 0 S 이고 답은 3번 이다.
20번 상호 인덕턴스는 한 쪽의 전류로 인한 다른 쪽의 쇄교 자속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무한 직선 도선에 전류 I 1 I_1 I 1 이 흐를 때 사각형에 쇄교되는 자속은
Φ = 1 × ∫ 1 3 μ 0 I 1 × 100 2 π ρ d ρ = 100 μ o I 1 l n 3 2 π = 50 μ 0 I 1 π l n 3 \begin{equation} \begin{split} \Phi&=1\times\int_1 ^3 \frac{\mu_0I_1\times100}{2\pi \rho}d\rho=\frac{100\mu_oI_1 ln3}{2\pi}\\ &=\frac{50\mu_0I_1}{\pi}ln3 \end{split} \end{equation} Φ = 1 × ∫ 1 3 2 π ρ μ 0 I 1 × 100 d ρ = 2 π 100 μ o I 1 l n 3 = π 50 μ 0 I 1 l n 3 이므로 상호 인덕턴스는 이를 I 1 I1 I 1 으로 나눈
M = 50 μ 0 π l n 3 M=\frac{50\mu_0}{\pi}ln3 M = π 50 μ 0 l n 3 이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21번 τ = R C = ρ ε \tau=RC=\rho\varepsilon τ = RC = ρε 이다. 따라서 저항을 구하면
R = ρ ε C = 1 0 1 1 × 20 × 1 0 − 12 20 × 1 0 − 6 = 1 0 5 Ω \begin{equation} \begin{split} R&=\frac{\rho\varepsilon}{C}\\ &=\frac{10^11\times 20\times 10^{-12}}{20\times 10^{-6}}\\ &=10^5 \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R = C ρε = 20 × 1 0 − 6 1 0 1 1 × 20 × 1 0 − 12 = 1 0 5 Ω 이므로 누설 전류는
I = 500 × 1 0 3 1 0 5 = 5 A \begin{equation} \begin{split} I&=\frac{500\times 10^3}{10^5}\\ &=5\text{ A} \end{split} \end{equation} I = 1 0 5 500 × 1 0 3 = 5 A 이고 답은 4번 이다.
22번 e m f = − d Φ d t = − 1 × 1 × 4 π × 1 0 − 7 × ( − 100 ) s i n ( 10 t ) = 400 π × 1 0 − 7 s i n ( 10 t ) \begin{equation} \begin{split} emf&=-\frac{d\Phi}{dt}\\ &=-1\times 1\times 4\pi\times10^{-7}\times (-100)sin(10t)\\ &=400\pi\times 10^{-7}sin(10t) \end{split} \end{equation} e m f = − d t d Φ = − 1 × 1 × 4 π × 1 0 − 7 × ( − 100 ) s in ( 10 t ) = 400 π × 1 0 − 7 s in ( 10 t )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23번 B = ∇ × A ⃗ B=\nabla\times\vec{A} B = ∇ × A 이므로
B ⃗ = ∣ a x ⃗ a y ⃗ a z ⃗ ∂ ∂ x ∂ ∂ y ∂ ∂ z y z x y − x z ∣ = a y ⃗ ( y + z ) + a z ⃗ ( y − z ) \begin{equation} \begin{split} \vec{B}&=\begin{vmatrix} \vec{a_x}&\vec{a_y}&\vec{a_z}\\ \frac{\partial}{\partial x}&\frac{\partial}{\partial y}&\frac{\partial}{\partial z}\\ yz&xy&-xz \end{vmatrix}\\ &=\vec{a_y}(y+z)+\vec{a_z}(y-z) \end{split} \end{equation} B = ∣ ∣ a x ∂ x ∂ yz a y ∂ y ∂ x y a z ∂ z ∂ − x z ∣ ∣ = a y ( y + z ) + a z ( y − z ) 이다. 따라서 구하려는 자속은
Φ = ∫ 0 2 ∫ 0 2 B ⃗ ⋅ d x d z a y ⃗ = ∫ 0 2 ∫ 0 2 z d x d z = [ 2 × z 2 2 ] 0 2 = 4 \begin{equation} \begin{split} \Phi&=\int_0 ^2 \int_0 ^2 \vec{B} \cdot dxdz \vec{a_y}\\ &=\int_0 ^2 \int_0 ^2 zdxdz\\ &=\left[2\times\frac{z^2}{2}\right]_0^2\\ &=4 \end{split} \end{equation} Φ = ∫ 0 2 ∫ 0 2 B ⋅ d x d z a y = ∫ 0 2 ∫ 0 2 z d x d z = [ 2 × 2 z 2 ] 0 2 = 4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24번 주어진 직선에 수직인 방향벡터는
a ⊥ ⃗ = 1 3 ( a x ⃗ − 2 a y ⃗ + 2 a z ⃗ ) \vec{a_\bot}=\frac{1}{3}(\vec{a_x}-2\vec{a_y}+2\vec{a_z}) a ⊥ = 3 1 ( a x − 2 a y + 2 a z ) 이다. 따라서 H 1 ⃗ \vec{H_1} H 1 의 수직 성분은
H 1 ⊥ = H 1 ⃗ ⋅ a ⊥ ⃗ = 1 3 ⇒ H 1 ⊥ ⃗ = 1 3 × 1 3 ( a x ⃗ − 2 a y ⃗ + 2 a z ⃗ ) = 1 9 a x ⃗ − 2 9 a y ⃗ + 2 9 a z ⃗ \begin{equation} \begin{split} H_{1\bot}&=\vec{H_1}\cdot\vec{a_\bot}\\ &=\frac{1}{3}\\ \Rightarrow \vec{H_{1\bot}}&=\frac{1}{3}\times\frac{1}{3}(\vec{a_x}-2\vec{a_y}+2\vec{a_z})\\ &=\frac{1}{9}\vec{a_x}-\frac{2}{9}\vec{a_y}+\frac{2}{9}\vec{a_z} \end{split} \end{equation} H 1⊥ ⇒ H 1⊥ = H 1 ⋅ a ⊥ = 3 1 = 3 1 × 3 1 ( a x − 2 a y + 2 a z ) = 9 1 a x − 9 2 a y + 9 2 a z 그러므로 H 1 ⃗ \vec{H_1} H 1 의 평행 선분은
H 1 ∥ ⃗ = H 1 ⃗ − H 1 ⊥ ⃗ = a x ⃗ − 1 3 × 1 3 ( a x ⃗ − 2 a y ⃗ + 2 a z ⃗ ) = 8 9 a x ⃗ + 2 9 a y ⃗ − 2 9 a z ⃗ \begin{equation} \begin{split} \vec{H_{1\parallel}}&=\vec{H_1}-\vec{H_{1\bot}}\\ &=\vec{a_x}-\frac{1}{3}\times\frac{1}{3}(\vec{a_x}-2\vec{a_y}+2\vec{a_z})\\ &=\frac{8}{9}\vec{a_x}+\frac{2}{9}\vec{a_y}-\frac{2}{9}\vec{a_z} \end{split} \end{equation} H 1 ∥ = H 1 − H 1⊥ = a x − 3 1 × 3 1 ( a x − 2 a y + 2 a z ) = 9 8 a x + 9 2 a y − 9 2 a z 이다.
경계조건에 의해서
B 1 ⊥ ⃗ = B 2 ⊥ ⃗ ⇒ 2 H 2 ⊥ ⃗ = 1 H 1 ⊥ ⃗ ⇒ 2 H 2 ⊥ ⃗ = 1 9 a x ⃗ − 2 9 a y ⃗ + 2 9 a z ⃗ ⇒ H 2 ⊥ ⃗ = 1 18 a x ⃗ − 2 18 a y ⃗ + 2 18 a z ⃗ \begin{equation} \begin{split} \vec{B_{1\bot}}&=\vec{B_{2\bot}}\\ \Rightarrow 2\vec{H_{2\bot}}&=1\vec{H_{1\bot}}\\ \Rightarrow 2\vec{H_{2\bot}}&=\frac{1}{9}\vec{a_x}-\frac{2}{9}\vec{a_y}+\frac{2}{9}\vec{a_z}\\ \Rightarrow \vec{H_{2\bot}}&=\frac{1}{18}\vec{a_x}-\frac{2}{18}\vec{a_y}+\frac{2}{18}\vec{a_z} \end{split} \end{equation} B 1⊥ ⇒ 2 H 2⊥ ⇒ 2 H 2⊥ ⇒ H 2⊥ = B 2⊥ = 1 H 1⊥ = 9 1 a x − 9 2 a y + 9 2 a z = 18 1 a x − 18 2 a y + 18 2 a z 그리고
H 1 ∥ ⃗ = H 2 ∥ ⃗ ⇒ H 2 ∥ ⃗ = 8 9 a x ⃗ + 2 9 a y ⃗ − 2 9 a z ⃗ \begin{equation} \begin{split} \vec{H_{1\parallel}}&=\vec{H_{2\parallel}}\\ \Rightarrow \vec{H_{2\parallel}}&=\frac{8}{9}\vec{a_x}+\frac{2}{9}\vec{a_y}-\frac{2}{9}\vec{a_z} \end{split} \end{equation} H 1 ∥ ⇒ H 2 ∥ = H 2 ∥ = 9 8 a x + 9 2 a y − 9 2 a z 이다. 따라서
H 2 ⃗ = H 2 ⊥ ⃗ + H 2 ∥ ⃗ = 1 18 ( a x ⃗ 17 + a y ⃗ 2 − a z ⃗ 2 ) \begin{equation} \begin{split} \vec{H_2}&=\vec{H_{2\bot}}+\vec{H_{2\parallel}}\\ &=\frac{1}{18}(\vec{a_x}17+\vec{a_y}2-\vec{a_z}2) \end{split} \end{equation} H 2 = H 2⊥ + H 2 ∥ = 18 1 ( a x 17 + a y 2 − a z 2 )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25번 ε r = 4 \varepsilon_r=4 ε r = 4 이므로 임피던스는 고유 임피던스의 절반인 60 π Ω 60\pi\text{ }\Omega 60 π Ω 이다. 한편 광속도 자유공간에서 광속의 절반인 3 2 × 1 0 8 \frac{3}{2}\times10^8 2 3 × 1 0 8 m/s이므로
β = ω v ⇒ ω = 10 π × 3 2 × 1 0 8 = 15 π × 1 0 8 \begin{equation} \begin{split} \beta&=\frac{\omega}{v}\\ \Rightarrow \omega&=10\pi\times \frac{3}{2}\times10^8\\ &=15\pi\times10^8 \end{split} \end{equation} β ⇒ ω = v ω = 10 π × 2 3 × 1 0 8 = 15 π × 1 0 8 이다. 진행방향은 + a z ⃗ +\vec{a_z} + a z 이므로
H ⃗ = a y ⃗ 1 60 π c o s ( 15 π × 1 0 8 t − 10 π z ) \vec{H}=\vec{a_y}\frac{1}{60\pi}cos(15\pi\times10^8t-10\pi z) H = a y 60 π 1 cos ( 15 π × 1 0 8 t − 10 π z ) 이고 답은 1번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