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 PDF 파일을 로드하고 있습니다. 한참 걸릴 수도 있어요 ㅠㅠ 30초 이상 걸리면 새로고침을 한번 해보세요.

2021 9급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1번

상호 인덕턴스 MM은 결합 계수 k=0.9k=0.9에 대해

M=kL1L2=0.920×80=36 μH\begin{equation} \begin{split} M&=k\sqrt{L_1L_2}\\ &=0.9\sqrt{20\times80}\\ &=36\text{ } \mu\text{H}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L1L_1의 자기장이 L2L_2의 자기장을 없애는 쪽으로 작용하니 M-M, 마찬가지로 L2L_2의 자기장이 L1L_1의 자기장을 없애는 쪽으로 작용하니 M-M이므로 총 인덕턴스는

L=L1+L2MM=20+803636=28 μH\begin{equation} \begin{split} L&=L_1+L_2-M-M\\ &=20+80-36-36\\ &=28 \text{ }\mu\text{H}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2번

역률이란 피상 전력(임피던스 전체에 대한 전력) 대비 유효 전력(저항에서 실제로 소모하는 전력)의 비율이다. 주어진 상황에서 저항과 커패시턴스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니 전류가 같으므로

I2RI2Z=RZ\frac{|I|^2R}{|I|^2|Z|}=\frac{R}{|Z|}

이다. ω=100 rad/s\omega=100 \text{ rad/s}이므로 커패시터의 리액턴스는

jX=1jωC=1j100×100×106=j100 Ω\begin{equation} \begin{split} jX&=\frac{1}{j\omega C}\\ &=\frac{1}{j100\times 100\times 10^{-6}}\\ &=-j100 \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Z=R+jX=100j100 ΩZ=1002 Ω\begin{gather} \begin{equation} \begin{split} Z&=R+jX\\ &=100-j100 \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 \Rightarrow |Z|=100\sqrt{2} \text{ }\Omega \end{gather}

이다. 이로부터 역률은

1001002=12\frac{100}{100\sqrt{2}}=\frac{1}{\sqrt{2}}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3번

중첩을 써 보자. 먼저 전압원을 없애면(=단락시키면) 6 mA6 \text{ mA}의 전류가 2 kΩ2 \text{ k}\Omega 저항에 2 mA2 \text{ mA}, 4 kΩ4 \text{ k}\Omega 저항에 2 mA2 \text{ mA} 흐를 것이므로 2 kΩ2 \text { k}\Omega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8 V8\text{ V}이다. 다음으로 전류원을 없애면(개방시키면) 2 kΩ2 \text { k}\Omega 저항에 분배되는 전압은 24×22+4=8 V24\times\frac{2}{2+4}=8 \text{ V}이다. 따라서

V1=8+8=16 VV_1=8+8=16 \text { V}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4번

먼저 전압원을 없애면 2 A2 \text { A} 의 전류 중 1 A1 \text{ A}는 다른 전류원이 가져가므로 1 A1 \text { A}의 전류가 244=1 Ω2||4||4=1 \text { }\Omega 저항에 흐른다. 따라서 이 경우 오른쪽의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은 1×1=1 V1\times 1=1 \text{ V}이다. 다음으로 전류원들을 없애면 4 V4 \text { V}의 전압이 2 Ω2 \text{ }\Omega44 Ω4||4 \text { }\Omega에 분배되므로 오른쪽 열린 단자에 나타나는 전압은 4×22+2=2 V4\times\frac{2}{2+2}=2 \text { V} 이다. 따라서

Vth=1+2=3 VV_{th}=1+2=3 \text { V}

이다. 다음으로 RthR_{th}를 구하기 위해 전압원과 전류원을 다 없애면

Rth=244=1 ΩR_{th}=2||4||4=1 \text{ }\Omega

이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5번

전류 IiI_i

Ii=VsViRs=0.5100=5 μA\begin{equation} \begin{split} I_i&=\frac{V_s-V_i}{R_s}\\ &=\frac{0.5}{100}\\ &=5 \text{ }\mu\text{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 전류가 ZiZ_i에 흘러들어가므로

Zi=ViIi=15=0.2 kΩ=200 Ω\begin{equation} \begin{split} Z_i&=\frac{V_i}{I_i}\\ &=\frac{1}{5}\\ &=0.2 \text{ k}\Omega\\ &=200 \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6번

출력 y(t)y(t)의 전력스펙트럼밀도는

Sy(f)=Sx(f)H(f)2S_y(f)=S_x(f)|H(f)|^2

이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입력신호가 있는 범위에서 H(f)=1H(f)=1이므로 (60,60)(-60,60) 범위에서

H(f)2=1Sy(f)=Sx(f)\begin{gather} |H(f)|^2=1\\ \Rightarrow S_y(f)=S_x(f) \end{gather}

이다. 따라서 수신 신호 전력은

PS=Sy(f)df=6060Sx(f)df=60×10=600 W\begin{equation} \begin{split} P_S&=\int_{-\infty}^{\infty}S_y(f)df\\ &=\int_{-60}^{60}S_x(f)df\\ &=60\times10\\ &=600 \text{ W}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다음으로 잡음 전력을 구하면

PN=60604df=480 W\begin{equation} \begin{split} P_N&=\int_{-60}^{60} 4 df\\ &=480 \text{ W}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SNR은

SNR=PSPN=600480=1.25\begin{equation} \begin{split} SNR&=\frac{P_S}{P_N}\\ &=\frac{600}{480}\\ &=1.25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7번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은 20 V20 \text { V}이다. 따라서 3번은 답이 될 수 없다. 다음으로 아주 많은 시간이 지났을 때, 30 V30 \text { V}의 전압은 10 kΩ10 \text { k}\Omega 저항에 10 V10 \text{ V}로 분배될 것이다. 따라서 1번은 답이 될 수 없고, 남는 것은 2번 또는 4번이다. 이제 시정수를 구해 보면 커패시터가 영향을 받게 되는 등가 저항은

R=2010=203 kΩR=20||10=\frac{20}{3}\text{ k}\Omega

이다. 따라서 시정수는

τ=RC=203×0.3=2000 s\begin{equation} \begin{split} \tau&=RC\\ &=\frac{20}{3}\times 0.3\\ &=2000 \text{ s}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8번

공진 주파수는

ω=1LC=120×103×2×106×1042=5000 rad/s\begin{equation} \begin{split} \omega&=\frac{1}{\sqrt{LC}}\\ &=\frac{1}{\sqrt{20\times 10^{-3}\times 2\times 10^{-6}}}\times\frac{10^4}{2}\\ &=5000 \text{ rad/s}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전압 확대율 QQ

Q=ωLR=1RωC=5000×20×1034=25\begin{equation} \begin{split} Q&=\frac{\omega L}{R}=\frac{1}{R\omega C}\\ &=\frac{5000\times 20\times 10^{-3}}{4}\\ &=25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9번

Io=0.4 mAI_o=0.4 \text { mA}라면 Q1Q_1의 베이스로 들어가는 전류는 0.4140 mA\frac{0.4}{140} \text{ mA}이다. 이만큼의 베이스 전류는 Q2Q_2로도 들어간다. 또한 이 IoI_o와 같은 양의 전류가 Q2Q_2의 컬렉터 전류이므로

Iref=Io+2×0.4140=0.4+1175 mA\begin{equation} \begin{split} I_{ref}&=I_o+2\times\frac{0.4}{140}\\ &=0.4+\frac{1}{175} \text{ m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VCCR1IrefVBE=0VCC=50×(0.4+1175)+0.720+0.3+0.720.7 V\begin{gather} V_{CC}-R_1I{ref}-V_{BE}=0\\ \begin{equation} \begin{split} \Rightarrow V_{CC}&=50\times\left(0.4+\frac{1}{175}\right)+0.7\\ &\approx 20+0.3+0.7\\ &\approx 20.7 \text{ V} \end{split} \end{equation} \end{gather}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0번

루스 판별법을 이용하자.

s31K+1s23K6sA0\def\arraystretch{1.5} \begin{array}{c:c:c} s^3 & 1 & K+1 \\ \hline s^2 & 3K & 6 \\ \hline s & A & 0 \end{array}

여기서 1>01>0이므로

K>0K>0

A=(1×63K(K+1))3K>0K(K+1)>2(K1)(K+2)>0K<2 또는 K>1\begin{gather} A=\frac{-(1\times 6-3K(K+1))}{3K} >0\\ \Rightarrow K(K+1)>2\\ \Rightarrow (K-1)(K+2)>0\\ \Rightarrow K\lt -2 \text{ 또는 } K>1 \end{gather}

를 만족해야 한다. 따라서

K>1K>1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11번

Y-Δ\Delta 변환을 이용하자. 이므로 위 회로는 다음과 같이 변형된다. 따라서 전류 II

I=200100=2 mA\begin{equation} \begin{split} I&=\frac{200}{100}\\ &=2\text{ mA} \end{split} \end{equation}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2번

다음과 같이 놓아보자.

F(s)=5s2+8s+2(s+1)(s+2)(s+3)=as+1+bs+2+cs+3F(s)=\frac{5s^2+8s+2}{(s+1)(s+2)(s+3)}=\frac{a}{s+1}+\frac{b}{s+2}+\frac{c}{s+3}

양변을 비교해서 a,b,ca,b,c를 구해보자.

5s2+8s+2=a(s+2)(s+3)+b(s+1)(s+3)+c(s+1)(s+2)5=a+b+c,8=a(2+3)+b(1+3)+c(1+2)=5a+4b+3c,2=a×23+b×13+c×12=6a+3b+2c{5=a+b+c8=a(2+3)+b(1+3)+c(1+2)=5a+4b+3c2=a×23+b×13+c×12=6a+3b+2c\begin{gather} 5s^2+8s+2=a(s+2)(s+3)+b(s+1)(s+3)+c(s+1)(s+2)\\ \Rightarrow 5=a+b+c, 8=a(2+3)+b(1+3)+c(1+2)=5a+4b+3c, 2=a\times2\cdot3+b\times1\cdot3+c\times1\cdot2=6a+3b+2c\\ \Rightarrow \begin{cases} 5&=a+b+c\\ 8&=a(2+3)+b(1+3)+c(1+2)\\ &=5a+4b+3c\\ 2&=a\times2\cdot3+b\times1\cdot3+c\times1\cdot2\\ &=6a+3b+2c \end{cases} \end{gather}

이를 풀자.

6=a+b+c and 5=a+b+ca=0.5 and b+c=5.55=3b+2c and 11=2b+2cb=6 and c=11.5\begin{gather} 6=-a+b+c \text{ and } 5=a+b+c\\ \Rightarrow a=-0.5 \text{ and } b+c=5.5\\ 5=3b+2c \text{ and } 11=2b+2c\\ \Rightarrow b=-6 \text{ and }c=11.5 \end{gather}

이러한 값들을 갖고 있는 것은 3번 이다.

13번

일단 (0,2)(0,2)안에서는 두 도선에 의한 자기력이 똑같이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이므로 여기에는 그런 지점이 없다. 따라서 2번과 3번은 제외이다. 다음으로 오른쪽의 전류 세기가 왼쪽 전류 세기의 3배이므로 이 점은 왼쪽 전류에 가까워야만 상쇄가 가능하다. 이를 만족하는 것은 1번 뿐이다.

14번

fc=12πRC=5 Hz\begin{equation} \begin{split} f_c&=\frac{1}{2\pi RC}\\ &=5 \text{ Hz}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5번

D=1D=1일 때만 Y=1Y=1이면 되므로 Y=DY=D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6번

OPAMP의 -쪽 입력 전압은

V=V1×210+2=V16\begin{equation} \begin{split} V_-&=V_1\times\frac{2}{10+2}\\ &=\frac{V_1}{6} \end{split} \end{equation}

++쪽 전압은

V+=6×R15+R1V_+=6\times\frac{R_1}{5+R_1}

이다. 네거티브 피드백이 없으므로 OPAMP는 V+V_+VV_-의 값을 비교한다. BJT가 켜지기 위해서는 양의 전압이 베이스에 가해져야 하므로 OPAMP의 출력은 양의 전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V+>V6×R15+R1>V1636R1>5V1+V1R1(V136)(R1+5)<180R1+5>0V1<36\begin{gather} V_+>V_-\\ \Rightarrow 6\times\frac{R_1}{5+R_1} \gt \frac{V_1}{6} \Rightarrow 36R_1\gt5V_1+V_1R_1\\ \Rightarrow (V_1-36)(R_1+5)\lt-180\\ R_1+5\gt0 \Rightarrow V_1\lt36 \end{gather}

따라서 일단 1번은 제외이다. 다음으로는 대충 찍는 수밖에 없다. R1=5R_1=5라고 가정하면 V1<18V_1\lt18이어야 하는데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4번 이다. R1=1R_1=1이라고 가정하면 V1<6V_1\lt6인데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없으므로 답을 확실히 알 수 있다.

17번

드 모르간의 법칙을 이용해보자. 가장 오른쪽의 NOR 게이트는 입력 쪽에 NOT을 한 AND 게이트와 같다. 따라서 가운데 게이트들은 NOR이 아니라 OR로 바뀐다. 따라서

X=(A+B+A)(A+B+B)=A+B+AB\begin{equation} \begin{split} X&=(\overline{A+B}+A)(\overline{A+B}+B)\\ &=\overline{A+B}+AB \end{split} \end{equation}

이는 XOR에 NOT한 형태, 즉 XNOR이므로 답은 4번 이다.

18번

Ip=2006+j8=20010=20 A\begin{equation} \begin{split} I_p&=\frac{200}{|6+j8|}\\ &=\frac{200}{10}\\ &=20 \text{ 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오른쪽 부하의 상전류는 왼쪽 위 방향으로 2012020\phase{-120^\circ}이다. 이 상전류와 표시된 선전류가 더해져서 표시된 상전류가 되므로 표시된 선전류는 표시된 상전류에서 왼쪽의 상전류를 뺀 값이다. 따라서 페이저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9번

위쪽 OR에는 1,3,51,3,5가, 아래쪽 OR에는 0,5,60,5,6이 가해지고 있고 이들이 AND로 인가되어 그 출력이 FF이므로 F=1F=1이기 위해서는 이 입력들의 공통인 55가 디코더에서 출력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것인 2번 이 답이다.

20번

네거티브 피드백이 있다고 가정하자. 즉 D1,D2D1, D2 모두 켜진다고 하는 것이다. 이 때 VoutV_{out}과 OPAMP의 - 입력간의 전압 차이는

VoutV=±(0.7+4.7)=±5.4 V\begin{equation} \begin{split} V_{out}-V_-&=\pm(0.7+4.7)\\ &=\pm5.4\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다. 한편 네거티브 피드백이 있다고 가정하였으므로 V=V+V_-=V_+이다. 따라서

V=V+=Vout×50120+50Vout×13\begin{equation} \begin{split} V_-&=V_+\\ &=V_{out}\times\frac{50}{120+50}\\ &\approx V_{out}\times\frac{1}{3}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Vout3VV_{out}\approx 3V_-

이므로 처음 구한 식에 대입하면

V±2.7 VVout±8.1\begin{gather} V_-\approx \pm 2.7\text{ V}\\ \Rightarrow V_{out}\approx \pm 8.1 \end{gather}

이다. 가장 가까운 값은 3번이라고 바로 생각해버릴 수도 있겠으나, 먼저 우리의 가정 즉 D1,D2D_1,D_2가 모두 켜진다는 조건이 가능한지 검토해야 한다. Vout>0V_{out}\gt 0일 때, VV_-의 최댓값은 2.72.7 V이다. 이는 VRV_R의 최댓값 55 V보다 작으므로 가능하다. Vout<0V_{out}\lt 0인 경우에 대해 풀어봐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따라서 네거티브 피드백이 있다고 한 가정이 타당하므로 답은 3번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