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 PDF 파일을 로드하고 있습니다. 한참 걸릴 수도 있어요 ㅠㅠ 30초 이상 걸리면 새로고침을 한번 해보세요.

2021 7급 서울시 전기자기학

1번

전기력선은 yzyz 평면 위에서 모든 방향으로 직선으로 뻗어나갈 것이다. 따라서 y=1,z=2y=1,z=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찾으면

y=12zy=\frac{1}{2}z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2번

VSWR=1+Γ1Γ=1+13113=3+131=3+1+2331=4+232=3+2\begin{equation} \begin{split} VSWR&=\frac{1+|\Gamma|}{1-|\Gamma|}\\ &=\frac{1+\frac{1}{\sqrt{3}}}{1-\frac{1}{\sqrt{3}}}\\ &=\frac{\sqrt{3}+1}{\sqrt{3}-1}\\ &=\frac{3+1+2\sqrt{3}}{3-1}\\ &=\frac{4+2\sqrt{3}}{2}\\ &=\sqrt{3}+2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3번

I=010210[sin(π4x)exp(0)i^+cos(π4x)exp(3×0)j^]dydxj^=010210cos(π4x)dydx=2001cos(π4x)dx=20×4πsin(π4x)01=20×4π×12=402π\begin{equation} \begin{split} I&=\int_0 ^1 \int_0 ^2 -10\left[sin\left(\frac{\pi}{4}x\right)exp(-0)\hat{i}+cos\left(\frac{\pi}{4}x\right)exp(-3\times0)\hat{j} \right]\cdot dydx\hat{j}\\ &=\int_0 ^1 \int_0 ^2 -10cos\left(\frac{\pi}{4}x\right)dydx\\ &=-20\int_0^1 cos\left(\frac{\pi}{4}x\right)dx\\ &=-20\times\left.\frac{4}{\pi}sin\left(\frac{\pi}{4}x\right)\right|_0 ^1\\ &=-20\times\frac{4}{\pi}\times\frac{1}{\sqrt{2}}\\ &=-\frac{40\sqrt{2}}{\pi}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4번

표피두께는

δ=1πfμσ\delta=\frac{1}{\sqrt{\pi f \mu \sigma}}

이다.

  1. 진동수가 2배로 증가하면 표피두께는 12\frac{1}{\sqrt{2}}배로 줄어든다.
  2. 도전율이 9배 증가하면 표피두께는 13\frac{1}{3}배로 줄어든다.
  3. 양도체에 흐르는 전류밀도는 양도체 안으로 들어갈수록 지수함수적으로 줄어든다.
  4. 투자율이 감소하면 표피두께는 증가한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사실 도전율이 9배”로” 증가한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5번

두 콘덴서의 비율이 1:2이므로 병렬로 연결했을 때 저장되는 전하의 비율도 1:2이다. 쉽게 생각해서 다른 것들은 다 동일하고 면적이 1:2인 것과 마찬가지일 때 저장되는 전하는 면적에 비례할 것이므로 그렇다. 따라서 5 μ\muF 콘덴서에 저장되는 전하량은 10 μ\muC이다. 그러므로 저장되는 전기 에너지는

We=12Q2C=12×102×10125×106=10 μJ\begin{equation} \begin{split} W_e&=\frac{1}{2}\frac{Q^2}{C}\\ &=\frac{1}{2}\times\frac{10^2\times10^{-12}}{5\times10^{-6}}\\ &=10\text{ }\mu\text{J}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6번

반경이 ρ=2\rho=2 m인 지점에서의 자기장을 묻고 있으므로, 외부 도체의 영향은 없다. 맥스웰 방정식

×H=J×HdS=I=Hdl\begin{equation} \begin{split} \nabla\times\vec{H}&=\vec{J}\\ \Rightarrow \int \nabla\times\vec{H}\cdot \vec{dS}&=I\\ &=\oint \vec{H}\cdot \vec{dl} \end{split} \end{equation}

인데, 대칭성에 의해서 자기장은 aϕ^\hat{a_\phi}방향으로만 있고, dl=2dϕaϕ^\vec{dl}=2d\phi\hat{a_\phi}이다. 따라서

Hdl=02πH×2ϕ=4πH=I=1H=14π\begin{equation} \begin{split} \oint \vec{H}\cdot \vec{dl}&=\int_0 ^{2\pi} H \times 2\phi\\ &=4\pi H\\ &=I\\ &=1\\ \Rightarrow H&=\frac{1}{4\pi}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방향을 고려해서 벡터로 표현하면

H=14πaϕ^\vec{H}=\frac{1}{4\pi}\hat{a_\phi}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7번

원형 도선 중심축 위의 점에서의 자계를 구해보자. 원의 반지름이 ρ\rho, 높이가 hh이다. 이 때 원의 미소성분으로부터 원하는 점까지의 거리는

R=ρ2+h2R=\sqrt{\rho^2+h^2}

이고, 방향벡터는

aR^=haz^ρaρ^ρ2+h2\hat{a_R}=\frac{h\hat{a_z}-\rho\hat{a_\rho}}{\sqrt{\rho^2+h^2}}

이다. 비오-사바르 법칙에 의해서

dH=I4πdl×aR^R2=I4πρdϕaϕ^×(haz^ρaρ^)(ρ2+h2)32=I4πρhdϕaρ^+ρ2dϕaz^(ρ2+h2)32\begin{equation} \begin{split} \vec{dH}&=\frac{I}{4\pi}\frac{\vec{dl}\times\hat{a_R}}{R^2}\\ &=\frac{I}{4\pi}\frac{\rho d\phi\hat{a_\phi}\times(h\hat{a_z}-\rho\hat{a_\rho})}{(\rho^2+h^2)^{\frac{3}{2}}}\\ &=\frac{I}{4\pi}\frac{\rho h d\phi \hat{a_\rho}+\rho^2d\phi\hat{a_z}}{(\rho^2+h^2)^{\frac{3}{2}}}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런데 원형으로 대칭성이 있으므로 aρ^\hat{a_\rho}성분은 한바퀴 적분 시 상쇄된다. 그러므로 자계를 구하면

H=dH=02πI4πρ2dϕaz^(ρ2+h2)32=I2ρ2(ρ2+h2)32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H}&=\int \vec{dH}\\ &=\int _0 ^{2\pi}\frac{I}{4\pi}\frac{\rho^2d\phi\hat{a_z}}{(\rho^2+h^2)^{\frac{3}{2}}}\\ &=\frac{I}{2}\frac{\rho^2}{(\rho^2+h^2)^{\frac{3}{2}}}\hat{a_z}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주어진 조건들을 대입하면

H=52×16(16+9)32az^=52×16125az^=825az^=0.32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H}&=\frac{5}{2}\times\frac{16}{(16+9)^{\frac{3}{2}}}\hat{a_z}\\ &=\frac{5}{2}\times\frac{16}{125}\hat{a_z}\\ &=\frac{8}{25}\hat{a_z}\\ &=0.32\hat{a_z}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8번

점전하가 만드는 전계의 크기는 전하에 비례하고 거리에 반비례한다. 주어진 조건들로부터

3x2=27(2x)21x2=32(2x)22x=3x2=4xx=0.5 m\begin{equation} \begin{split} \frac{3}{x^2}&=\frac{27}{(2-x)^2}\\ \Rightarrow \frac{1}{x^2}&=\frac{3^2}{(2-x)^2}\\ \Rightarrow 2-x&=3x\\ \Rightarrow 2&=4x\\ \Rightarrow x&=0.5\text{ m}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9번

자유공간의 임피던스는

η0=μ0ϵ0=4π×107136π×109=22×π2×62×102=120π377 Ω\begin{equation} \begin{split} \eta_0&=\sqrt{\frac{\mu_0}{\epsilon_0}}\\ &=\sqrt{\frac{4\pi\times10^{-7}}{\frac{1}{36\pi}\times10^{-9}}}\\ &=\sqrt{2^2\times\pi^2\times6^2\times10^2}\\ &=120\pi\\ &\approx 377\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평면파의 시간 평균 전력은

W=12EH=12E2η012×1377=1754 W/m2\begin{equation} \begin{split} W&=\frac{1}{2}EH\\ &=\frac{1}{2}\frac{E^2}{\eta_0}\\ &\approx\frac{1}{2}\times\frac{1}{377}\\ &=\frac{1}{754}\text{ W/m}^2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10번

-2 μ\muC가 있는 점에서 원하는 점까지의 거리는

(21)2+(20)2+(31)2=2\sqrt{(2-1)^2+(\sqrt{2}-0)^2+(3-1)^2}=2

이므로 전위는

V2=24πϵ02=2×1068π×136π×109=9 kV\begin{equation} \begin{split} V_{-2}&=\frac{-2}{4\pi\epsilon_0\cdot 2}\\ &=\frac{-2\times10^{-6}}{8\pi\times\frac{1}{36\pi}\times10^{-9}}\\ &=-9\text{ kV}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다음으로 6 μ\muC가 있는 점에서 원하는 점까지의 거리는

(31)2+(20)2+(12)2=3\sqrt{(3-1)^2+(-2-0)^2+(1-2)^2}=3

이므로 전위는

V6=6×1064π×136π×1093=18 kV\begin{equation} \begin{split} V_{6}&=\frac{6\times10^{-6}}{4\pi\times\frac{1}{36\pi}\times10^{-9}\cdot3}\\ &=18\text{ kV}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두 전위를 합하면

V=9+18=9 kV\begin{equation} \begin{split} V&=-9+18\\ &=9\text{ kV}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1번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A(P)=2aρ^8aϕ^+5az^\vec{A(P)}=2\hat{a_\rho}-8\hat{a_\phi}+5\hat{a_z}

이다. 한편

aρ^=cosϕax^+sinϕay^aϕ^=sinϕax^+cosϕay^\begin{equation} \begin{split} \hat{a_\rho}&=cos\phi\hat{a_x}+sin\phi\hat{a_y}\\ \hat{a_\phi}&=-sin\phi\hat{a_x}+cos\phi\hat{a_y}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대입하면

A(P)=(2cosϕ+8sinϕ)ax^+(2sinϕ8cosϕ)ay^+5az^=(1+43)ax^+(4+3)ay^+5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A(P)}&=(2cos\phi+8sin\phi)\hat{a_x}+(2sin\phi-8cos\phi)\hat{a_y}+5\hat{a_z}\\ &=(1+4\sqrt{3})\hat{a_x}+(-4+\sqrt{3})\hat{a_y}+5\hat{a_z}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2번

인덕터에 저장되는 자기에너지는

Wm=12LI2W_m=\frac{1}{2}LI^2

이므로 이로부터 전류를 구하면

I=2WmL=4×10410×103=0.2 A\begin{equation} \begin{split} I&=\sqrt{\frac{2W_m}{L}}\\ &=\sqrt{\frac{4\times10^{-4}}{10\times10^{-3}}}\\ &=0.2\text{ A}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3번

  1. 그렇다. 중간에 자하가 없기 때문에 자속밀도는 일정하다.
  2. 경계면에서 전류가 없을 때만 그렇다.
  3. 경계조건을 풀면 계산할 수 있다.
  4. 그렇다. 암페어 법칙은
    ×H=J\nabla\times\vec{H}=\vec{J}
    이고 가우스법칙은
    B=0\nabla\cdot\vec{B}=0
    이다.

따라서 답은 2번이다.

14번

전류 방향에 수직인 변에 작용하는 힘은 없다. 따라서 선분 ADADBCBC에 작용하는 힘을 구해서 더하면 된다. 무한전류선로가 만들어내는 자기장은 xyxy평면 위에서

B=μ0I2πρaz=106ρ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B}&=\frac{\mu_0I}{2\pi\rho}\vec{a_z}\\ &=\frac{10^{-6}}{\rho}\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선분 ADAD에 가해지는 힘은

FAD=103ay×1061az×2=2×109ax\begin{equation} \begin{split} \vec{F_{AD}}&=-10^{-3}\vec{a_y}\times\frac{10^{-6}}{1}\vec{a_z}\times 2\\ &=-2\times10^{-9}\vec{a_x}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선분 BCBC에 가해지는 힘은

FBC=103ay×1063az×2=2×1093ax\begin{equation} \begin{split} \vec{F_{BC}}&=10^{-3}\vec{a_y}\times\frac{10^{-6}}{3}\vec{a_z}\times2\\ &=2\times\frac{10^{-9}}{3}\vec{a_x}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둘을 더하면

F=(1+13)×109ax×2=43ax nN\begin{equation} \begin{split} \vec{F}&=\left(-1+\frac{1}{3}\right)\times10^{-9}\vec{a_x}\times2\\ &=-\frac{4}{3}\vec{a_x}\text{ nN}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러므로 답은 2번이다.

15번

τ=m×B\vec{\tau}=\vec{m}\times\vec{B}

이다. 우선 m\vec{m}을 구하면

m=ISaS=12×103×3×4az=144×103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m}&=IS\vec{a_S}\\ &=12\times10^{-3}\times3\times4\vec{a_z}\\ &=144\times10^{-3}\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회전력은

τ=144×103az×(0.7ax+0.9az)=100.8ay mNm\begin{equation} \begin{split} \vec{\tau}&=144\times10^{-3}\vec{a_z}\times(-0.7\vec{a_x}+0.9\vec{a_z})\\ &=-100.8\vec{a_y}\text{ mN}\cdot\text{m}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6번

  1. 그렇다.
  2. 그렇다.
  3. 그렇다.
  4. 같은 매질 내에서는 같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답은 4번 이다.

17번

자유공간에서 점전하가 만드는 전위는

V=Q4πϵ0rV =\frac{Q}{4\pi\epsilon_0 r}

이다. +1 C의 점전하가 만드는 r=1r=1에서의 전위는

V(1)=14πϵ0V(1)=\frac{1}{4\pi\epsilon_0}

이고, r=2r=2에서의 전위는

V(2)=18πϵ0V(2)=\frac{1}{8\pi\epsilon_0}

이다. 따라서 V(1)V(2)V(1)-V(2)를 구하면

V(1)V(2)=18πϵ0V(1)-V(2)=\frac{1}{8\pi\epsilon_0}

이다. 여기에 대상 전하의 전하량인 +1 C를 곱해도 같은 값이므로 답은 4번 이다.

18번

다음과 같이 아래쪽 성분에 대해 생각하자. xxL2-\frac{L}{2}에서 L2\frac{L}{2}로 변화시키며 적분해서 자계를 구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미소자계를 구하면

dH=I4πdxax×(L23ayxax)(L2(23)2+x2)32=I4πL23(L212+x2)32dx=I4πL23(1+12L2x2)32×1(L23)3=I4π1(1+12L2x2)32×1L212=I4π1(1+12L2x2)32×12L2\begin{equation} \begin{split} d\vec{H}&=\frac{I}{4\pi}\frac{dx\vec{a_x}\times\left(\frac{L}{2\sqrt{3}}\vec{a_y}-x\vec{a_x}\right)}{\left(\frac{L^2}{(2\sqrt{3})^2}+x^2\right)^\frac{3}{2}}\\ &=\frac{I}{4\pi}\frac{\frac{L}{2\sqrt{3}}}{\left(\frac{L^2}{12}+x^2\right)^\frac{3}{2}}dx\\ &=\frac{I}{4\pi}\frac{\frac{L}{2\sqrt{3}}}{\left(1+\frac{12}{L^2}x^2\right)^\frac{3}{2}}\times\frac{1}{\left(\frac{L}{2\sqrt{3}}\right)^3}\\ &=\frac{I}{4\pi}\frac{1}{\left(1+\frac{12}{L^2}x^2\right)^\frac{3}{2}}\times\frac{1}{\frac{L^2}{12}}\\ &=\frac{I}{4\pi}\frac{1}{\left(1+\frac{12}{L^2}x^2\right)^\frac{3}{2}}\times\frac{12}{L^2}\\ \end{split} \end{equation}

치환적분을 하기 위해서 23Lx=tanθ\frac{2\sqrt{3}}{L}x=tan\theta로 놓자. 그러면 23Ldx=sec2θ\frac{2\sqrt{3}}{L}dx=sec^2\theta이다. 이를 위에 대입하면

dH=I4π1(1+tan2θ)3212L2L23sec2θdθ=I4π1(sec2θ)3223Lsec2θdθ=I4π1sec3θ23Lsec2θdθ=I4π1secθ23Ldθ=I4π×23L×cosθdθ=3I2πL×cosθdθ\begin{equation} \begin{split} d\vec{H}&=\frac{I}{4\pi}\frac{1}{(1+tan^2\theta)^\frac{3}{2}}\frac{12}{L^2}\frac{L}{2\sqrt{3}}sec^2\theta d\theta\\ &=\frac{I}{4\pi}\frac{1}{(sec^2\theta)^\frac{3}{2}}\frac{2\sqrt{3}}{L}sec^2\theta d\theta\\ &=\frac{I}{4\pi}\frac{1}{sec^3\theta}\frac{2\sqrt{3}}{L}sec^2\theta d\theta\\ &=\frac{I}{4\pi}\frac{1}{sec\theta}\frac{2\sqrt{3}}{L}d\theta\\ &=\frac{I}{4\pi}\times\frac{2\sqrt{3}}{L}\times cos\theta d\theta\\ &=\frac{\sqrt{3}I}{2\pi L}\times cos\theta d\theta\\ \end{split} \end{equation}

θ\theta에 대해 π3-\frac{\pi}{3}부터 π3\frac{\pi}{3}까지 적분하면

H=π3π33I2πL×cosθdθ=3I2πLsinθπ3π3=3I2πL×32×2=3I2πL\begin{equation} \begin{split} \vec{H}&=\int _{-\frac{\pi}{3}} ^\frac{\pi}{3} \frac{\sqrt{3}I}{2\pi L}\times cos\theta d\theta\\ &=\left.\frac{\sqrt{3}I}{2\pi L}sin\theta\right|_{-\frac{\pi}{3}} ^\frac{\pi}{3}\\ &=\frac{\sqrt{3}I}{2\pi L}\times\frac{\sqrt{3}}{2}\times 2\\ &=\frac{3I}{2\pi L}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러한 성분이 3개 있으므로 위에 3을 곱하면

9I2πL\frac{9I}{2\pi L}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9번

로런츠 힘을 구하면

F=qv×B=q(20ax)×0.5az=10qay\begin{equation} \begin{split} F&=q\vec{v}\times\vec{B}\\ &=q(-20\vec{a_x})\times0.5\vec{a_z}\\ &=-10q\vec{a_y}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도선이 xx축과 6060^\circ의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도선의 yy성분 길이는 32\frac{\sqrt{3}}{2}이다. 유도 기전력을 구하기 위해 로런츠 힘과 도선의 yy성분 길이를 곱하고 전하량으로 나눠주면

emf=10×32=53\begin{equation} \begin{split} emf&=10\times\frac{\sqrt{3}}{2}\\ &=5\sqrt{3}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20번

입사하는 쪽의 전기장의 수평 성분의 크기는 11이고, 수직 성분의 크기는 3\sqrt{3}이다. 전속밀도는 양쪽에서 같음을 이용하면 공기 쪽의 수직 성분의 전기장을 알 수 있다.

D1=D243=1×E2\begin{equation} \begin{split} D_1&=D_2\\ \Rightarrow 4\sqrt{3}&=1\times E_{2\perp}\\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다음으로 수평 성분은 같으므로

E2=1E_{2||}=1

이다. 이로부터 전기장의 크기를 구하면

E2=(43)2+(1)2=48+1=49=7 V/m\begin{equation} \begin{split} E_2&=\sqrt{(4\sqrt{3})^2+(1)^2}\\ &=\sqrt{48+1}\\ &=\sqrt{49}\\ &=7\text{ V/m}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4번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