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 PDF 파일을 로드하고 있습니다. 한참 걸릴 수도 있어요 ㅠㅠ 30초 이상 걸리면 새로고침을 한번 해보세요.

2021 7급 서울시 통신이론

1번

QAM은 진폭과 위상을 변경하지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는다. 따라서 답은 4번이다.

2번

  1. X에 대한 부분누적분포함수(marginal cdf)는 Y에 의한 영향을 제거한 것으로 모든 Y에 대해 적분하면 된다. 즉 FX(x)=FXY(x,)F_X(x)=F_{XY}(x,\infty)이다.
  2. 일반적인 경우 두 확률변수가 독립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fXY(x,y)fX(x)fY(y)f_{XY}(x,y)\neq f_X(x)f_Y(y)이다.
  3. 그렇다. Y와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4. 그렇다.
    FXY(x,y)=00fXY(x,y)dxdy=00fX(x)fY(y)dxdy=0fX(x)dx0fY(y)dy=FX(x)FY(y)\begin{equation} \begin{split} F_{XY}(x,y)&=\int_0^\infty \int_0^\infty f_{XY}(x,y)dxdy\\ &=\int_0^\infty \int_0^\infty f_{X}(x)f_{Y}(y)dxdy\\ &=\int_0^\infty f_{X}(x) dx \int_0^\infty f_{Y}(y) dy\\ &=F_X(x)F_Y(y)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3번

F{sinc(3t)}=13(f3)={13f320f>32\begin{equation} \begin{split} \mathcal{F}\{sinc(3t)\}&=\frac{1}{3}\sqcap\left(\frac{f}{3}\right)\\ &=\begin{cases} \frac{1}{3}&f\leq\frac{3}{2}\\ 0&f\gt \frac{3}{2} \end{cases}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F{sinc2(3t)}=(13(f3))(13(f3))={t+332t0t332t>0\begin{equation} \begin{split} \mathcal{F}\{sinc^2(3t)\}&=\left(\frac{1}{3}\sqcap\left(\frac{f}{3}\right)\right)*\left(\frac{1}{3}\sqcap\left(\frac{f}{3}\right)\right)\\ &=\begin{cases} \frac{t+3}{3^2}&t\leq 0\\ -\frac{t-3}{3^2}&t\gt 0 \end{cases}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에너지는 이를 제곱해서 전 실수에 대해 적분한 값인데, ff의 범위와 좌우 대칭을 고려하면 왼쪽에 대해서만 제곱해서 적분하고 2를 곱하면 된다. 왼쪽을 오른쪽으로 3만큼 옮겨서 계산하면

E=2×03f234df=2×3335=29\begin{equation} \begin{split} E&=2\times\int_0^3 \frac{f^2}{3^4}df\\ &=2\times\frac{3^3}{3^5}\\ &=\frac{2}{9}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4번

  1. P(A=0)=116+332+316+532=12P(A=0)=\frac{1}{16}+\frac{3}{32}+\frac{3}{16}+\frac{5}{32}=\frac{1}{2}
  2. P(B1)=116+332+332+14=12P(B\leq 1)=\frac{1}{16}+\frac{3}{32}+\frac{3}{32}+\frac{1}{4}=\frac{1}{2}
  3. P(B=1A=1)=14332+14+18+132=12P(B=1|A=1)=\frac{\frac{1}{4}}{\frac{3}{32}+\frac{1}{4}+\frac{1}{8}+\frac{1}{32}}=\frac{1}{2}
  4. P(B=2A=0)=316116+332+316+532=38P(B=2|A=0)=\frac{\frac{3}{16}}{\frac{1}{16}+\frac{3}{32}+\frac{3}{16}+\frac{5}{32}}=\frac{3}{8}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5번

출력 랜덤프로세스 y(t)y(t)에 대해

SY(f)=H(f)2SX(f)S_Y(f)=|H(f)|^2S_X(f)

이다. 한편

H(f)=11+j2πfH(f)=\frac{1}{1+j2\pi f}

이므로

H(f)2=11+4π2f2|H(f)|^2=\frac{1}{1+4\pi^2f^2}

이다. 따라서 출력 랜덤프로세스의 전력은

PY=11+4π2f2×N02df=N02×π2π21sec2θsec2θ2πdθ=N02×π×12π=N04\begin{equation} \begin{split} P_Y&=\int _{-\infty} ^\infty \frac{1}{1+4\pi^2f^2} \times \frac{N_0}{2} df\\ &=\frac{N_0}{2} \times \int _{-\frac{\pi}{2}}^{\frac{\pi}{2}}\frac{1}{sec^2\theta}\cdot\frac{sec^2\theta}{2\pi} d\theta\\ &=\frac{N_0}{2} \times\pi\times\frac{1}{2\pi}\\ &=\frac{N_0}{4}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6번

메시지 신호는 t=12t=\frac{1}{2}가 되는 지점에서 처음 0이 나타나므로 주파수 영역에서 나타나는 사각함수의 폭은 이의 역수인 2 Hz이다. 그런데 대역폭은 양수인 부분의 폭이므로 기저대역에서는 대칭성에 의해 이의 절반인 1 Hz이 대역폭이다. 한편 메시지 신호의 대역폭에 비해 충분히 큰 100 Hz로 변조하면 음수 부분의 폭도 100 Hz 근방으로 옮겨져서 나타날 때 양수 범위 안에 들어가기 때문에 2배인 2 Hz가 대역폭이 된다. 따라서 답은 2번이다.

7번

동기식 복조의 경우에 성상도 상의 심볼 간 거리를 dd라고 하면 비트오율은 다음과 같다.

Pb=Q(d/2σ)P_b=Q\left(\frac{d/2}{\sigma}\right)

한편 조건에서 σ=N02\sigma=\frac{N_0}{2}이다.

  1. BPSK의 경우 d/2=Ebd/2=\sqrt{E_b}이다. 따라서
    Pb=Q(2EbN0)P_b=Q\left( \sqrt{\frac{2E_b}{N_0}} \right)
    이다.
  2. ASK와 FSK는 신호가 특정 주파수에서 있냐 없냐만 보면 되기 때문에 비동기 검파가 가능하다. 둘 다 이진이고 주파수가 직교한다고 가정했을 때, 이 때의 BE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먼저 두 개의 심볼 s1(t)s_1(t)s2(t)s_2(t)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s1(t)=2EbTcos(2πf1t+θ1)s2(t)=2EbTcos(2πf2t+θ2)\begin{equation} \begin{split} s_1(t)&=\sqrt{\frac{2E_b}{T}}cos(2\pi f_1 t+\theta_1)\\ s_2(t)&=\sqrt{\frac{2E_b}{T}}cos(2\pi f_2 t+\theta_2) \end{split} \end{equation}
    다음으로 i=1,2i=1,2에 대해 기저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하자.
    ϕi=2Tcos(2πfit)ϕ^i=2Tsin(2πfit)\begin{equation} \begin{split} \phi_i=\sqrt{\frac{2}{T}}cos(2\pi f_i t)\\ \hat{\phi}_i=\sqrt{\frac{2}{T}}sin(2\pi f_i t) \end{split} \end{equation}
    수신된 신호를 x(t)=s1(t)+n(t)x(t)=s_1(t)+n(t)라고 하자. 그러면 이 신호의 각 주파수별 I채널과 Q채널은 다음과 같다.
    xI,1=0Tx(t)2Tcos(2πf1t)=0T(s1(t)+n(t))2Tcos(2πf1t)=0T2EbTcos(2πf1t+θ1)2Tcos(2πf1t)dt+0Tn(t)2Tcos(2πf1t)dt=Ebcos(θ1)+0Tn(t)2Tcos(2πf1t)dt=Ebcos(θ1)+nI,1xQ,1=0Tx(t)2Tsin(2πf1t)=0T(s1(t)+n(t))2Tsin(2πf1t)=0T2EbTsin(2πf1t+θ1)2Tsin(2πf1t)dt+0Tn(t)2Tsin(2πf1t)dt=Ebsin(θ1)+0Tn(t)2Tsin(2πf1t)dt=Ebsin(θ1)+nQ,1xI,2=0Tx(t)2Tcos(2πf2t)=0T(s1(t)+n(t))2Tcos(2πf2t)=0T2EbTcos(2πf1t+θ2)2Tcos(2πf2t)dt+0Tn(t)2Tcos(2πf2t)dt=0Tn(t)2Tcos(2πf2t)dt=nI,2xQ,1=0Tx(t)2Tsin(2πf2t)=0T(s1(t)+n(t))2Tsin(2πf2t)=0T2EbTsin(2πf1t+θ2)2Tsin(2πf2t)dt+0Tn(t)2Tsin(2πf2t)dt=0Tn(t)2Tsin(2πf2t)dt=nQ,2\begin{equation} \begin{split} x_{I,1}&=\int_0 ^T x(t) \sqrt{\frac{2}{T}}cos(2\pi f_1 t)\\& =\int_0 ^T (s_1(t)+n(t)) \sqrt{\frac{2}{T}}cos(2\pi f_1 t) \\ &= \int_0 ^T \sqrt{\frac{2E_b}{T}}cos(2\pi f_1 t+\theta_1) \sqrt{\frac{2}{T}}cos(2\pi f_1 t) dt + \int_0 ^T n(t)\sqrt{\frac{2}{T}}cos(2\pi f_1 t) dt\\ &=\sqrt{E_b}cos(\theta_1)+ \int_0 ^T n(t)\sqrt{\frac{2}{T}}cos(2\pi f_1 t) dt\\ &=\sqrt{E_b}cos(\theta_1)+n_{I,1}\\ x_{Q,1}&=\int_0 ^T x(t) \sqrt{\frac{2}{T}}sin(2\pi f_1 t)\\ &=\int_0 ^T (s_1(t)+n(t)) \sqrt{\frac{2}{T}}sin(2\pi f_1 t)\\ & = \int_0 ^T \sqrt{\frac{2E_b}{T}}sin(2\pi f_1 t+\theta_1) \sqrt{\frac{2}{T}}sin(2\pi f_1 t) dt + \int_0 ^T n(t)\sqrt{\frac{2}{T}}sin(2\pi f_1 t) dt\\ &=\sqrt{E_b}sin(\theta_1)+ \int_0 ^T n(t)\sqrt{\frac{2}{T}}sin(2\pi f_1 t) dt\\ &=\sqrt{E_b}sin(\theta_1)+n_{Q,1}\\ x_{I,2}&=\int_0 ^T x(t) \sqrt{\frac{2}{T}}cos(2\pi f_2 t)\\ &=\int_0 ^T (s_1(t)+n(t)) \sqrt{\frac{2}{T}}cos(2\pi f_2 t) \\ &= \int_0 ^T \sqrt{\frac{2E_b}{T}}cos(2\pi f_1 t+\theta_2) \sqrt{\frac{2}{T}}cos(2\pi f_2 t) dt + \int_0 ^T n(t)\sqrt{\frac{2}{T}}cos(2\pi f_2 t) dt\\ &= \int_0 ^T n(t)\sqrt{\frac{2}{T}}cos(2\pi f_2 t) dt\\ &=n_{I,2}\\ x_{Q,1}&=\int_0 ^T x(t) \sqrt{\frac{2}{T}}sin(2\pi f_2 t)\\ &=\int_0 ^T (s_1(t)+n(t)) \sqrt{\frac{2}{T}}sin(2\pi f_2 t) \\ &= \int_0 ^T \sqrt{\frac{2E_b}{T}}sin(2\pi f_1 t+\theta_2) \sqrt{\frac{2}{T}}sin(2\pi f_2 t) dt + \int_0 ^T n(t)\sqrt{\frac{2}{T}}sin(2\pi f_2 t) dt\\ &= \int_0 ^T n(t)\sqrt{\frac{2}{T}}sin(2\pi f_2 t) dt\\ &=n_{Q,2} \end{split} \end{equation}
    θ1\theta_1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곱해서 더해야 한다. 다음과 같이 놓자.
    r12=xI,12+xQ,12r22=xI,22+xQ,22\begin{gather} r_1^2=x_{I,1}^2+x_{Q,1}^2\\ r_2^2=x_{I,2}^2+x_{Q,2}^2 \end{gather}
    한편, 위의 xx들은 다 독립이다. 그리고 2에 대한 xx들은 평균이 0이고 분산이 N02\frac{N_0}{2}인 정규분포를 따르므로 r2r_2는 레일리 분포를 따른다. 그리고 1에 대한 xx들은 각각 평균이 Ebcosθ1,Ebsinθ1\sqrt{E_b}cos\theta_1,\sqrt{E_b}sin\theta_1이고 분산이 N02\frac{N_0}{2}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그러므로 비트오율은
    P(r12<r22s1)=12π×N02e(xI,1Ebcosθ1)22×N02e(xQ,1Ebsinθ1)22×N02xI,12+xQ,12r2er222N02N02dr2dxI,1dxQ,1=1πN0e(xI,1Ebcosθ1)2N0e(xQ,1Ebsinθ1)2N0xI,12+xQ,122r2er22N0N0dr2dxI,1dxQ,1=1πN0e(xI,1Ebcosθ1)2N0e(xQ,1Ebsinθ1)2N0exI,12+xQ,12N0dxI,1dxQ,1=1πN0e2xI,122xI,1Ebcosθ1+Ebcosθ12N0e2xQ,122xQ,1Ebsinθ1+Ebsinθ12N0dxI,1dxQ,1=1πN0e(xI,1Ebcosθ12)2+EBcosθ124N0/2e(xQ,1Ebsinθ12)2+EBsinθ124N0/2dxI,1dxQ,1=1πN0eEB2N0e(xI,1Ebcosθ12)2N0/2e(xQ,1Ebsinθ12)2N0/2dxI,1dxQ,1=1πN0eEB2N0×12π×N04×2π×N04e(xI,1Ebcosθ12)2N0/2e(xQ,1Ebsinθ12)2N0/2dxI,1dxQ,1=1πN0eEB2N0×2π×N04=12eEb2N0\begin{equation} \begin{split} P(r_1^2\lt r_2^2 | s_1)&=\int_{-\infty}^\infty\int_{-\infty}^\infty \frac{1}{2\pi\times\frac{N_0}{2}}e^{-\frac{(x_{I,1}-\sqrt{E_b}cos\theta_1)^2}{2\times\frac{N_0}{2}}}e^{-\frac{(x_{Q,1}-\sqrt{E_b}sin\theta_1)^2}{2\times\frac{N_0}{2}}}\int_{\sqrt{x_{I,1}^2+x_{Q,1}^2}}^\infty\frac{r_2e^{-\frac{r_2^2}{2\frac{N_0}{2}}}}{\frac{N_0}{2}}dr_2dx_{I,1}dx_{Q,1}\\ &=\int_{-\infty}^\infty\int_{-\infty}^\infty \frac{1}{\pi N_0} e^{-\frac{(x_{I,1}-\sqrt{E_b}cos\theta_1)^2}{N_0}}e^{-\frac{(x_{Q,1}-\sqrt{E_b}sin\theta_1)^2}{N_0}} \int _{\sqrt{x_{I,1}^2+x_{Q,1}^2}}^\infty \frac{2r_2e^{-\frac{r_2^2}{N_0}}}{N_0}dr_2dx_{I,1}dx_{Q,1}\\ &=\int_{-\infty}^\infty\int_{-\infty}^\infty \frac{1}{\pi N_0} e^{-\frac{(x_{I,1}-\sqrt{E_b}cos\theta_1)^2}{N_0}}e^{-\frac{(x_{Q,1}-\sqrt{E_b}sin\theta_1)^2}{N_0}} e^{-\frac{x_{I,1}^2+x_{Q,1}^2}{N_0}}dx_{I,1}dx_{Q,1}\\ &=\int_{-\infty}^\infty\int_{-\infty}^\infty \frac{1}{\pi N_0} e^{-\frac{2x_{I,1}^2-2x_{I,1}\sqrt{E_b}cos\theta_1+E_b cos\theta_1^2}{N_0}}e^{-\frac{2x_{Q,1}^2-2x_{Q,1}\sqrt{E_b}sin\theta_1+E_b sin\theta_1^2}{N_0}}dx_{I,1}dx_{Q,1}\\ &=\int_{-\infty}^\infty\int_{-\infty}^\infty \frac{1}{\pi N_0} e^{-\frac{\left(x_{I,1}-\frac{\sqrt{E_b}cos\theta_1}{2}\right)^2+\frac{E_Bcos\theta_1^2}{4}}{N_0/2}} e^{-\frac{\left(x_{Q,1}-\frac{\sqrt{E_b}sin\theta_1}{2}\right)^2+\frac{E_B sin\theta_1^2}{4}}{N_0/2}}dx_{I,1}dx_{Q,1}\\ &=\frac{1}{\pi N_0}e^{-\frac{-E_B}{2N_0}}\int_{-\infty}^\infty\int_{-\infty}^\infty e^{-\frac{\left(x_{I,1}-\frac{\sqrt{E_b}cos\theta_1}{2}\right)^2}{N_0/2}} e^{-\frac{\left(x_{Q,1}-\frac{\sqrt{E_b}sin\theta_1}{2}\right)^2}{N_0/2}}dx_{I,1}dx_{Q,1}\\ &=\frac{1}{\pi N_0}e^{-\frac{-E_B}{2N_0}} \times \frac{1}{2\pi\times\frac{N_0}{4}}\times 2\pi\times\frac{N_0}{4}\int_{-\infty}^\infty\int_{-\infty}^\infty e^{-\frac{\left(x_{I,1}-\frac{\sqrt{E_b}cos\theta_1}{2}\right)^2}{N_0/2}} e^{-\frac{\left(x_{Q,1}-\frac{\sqrt{E_b}sin\theta_1}{2}\right)^2}{N_0/2}}dx_{I,1}dx_{Q,1}\\ &=\frac{1}{\pi N_0}e^{-\frac{-E_B}{2N_0}}\times 2\pi\times\frac{N_0}{4}\\ &=\frac{1}{2}e^{-\frac{E_b}{2N_0}}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물론 이와 같이 풀려면 주파수가 직교해야한다는 가정이 있으니 찜찜하긴 하지만 일단 다음 보기로 넘어가자.
  3. 동기식 ASK의 경우, 심볼 간의 거리는 d=2Ebd=\sqrt{2E_b}이므로 d2=Eb2\frac{d}{2}=\frac{E_b}{\sqrt{2}}이다. 동기식 FSK의 경우에는 심볼 간의 거리는 d=2Eb=2Ebd=\sqrt{2}{E_b}=\sqrt{2E_b}로 ASK의 경우와 같다. 그러므로 비트오율은
    Pb=Q(Eb2N02)=Q(EbN0)\begin{equation} \begin{split} P_b&=Q\left(\frac{\frac{E_b}{\sqrt{2}}}{\sqrt{\frac{N_0}{2}}} \right)\\ &=Q\left(\sqrt{\frac{E_b}{N_0}} \right)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러나 동기식 BPSK의 경우가 Q함수의 인자가 2(>1)\sqrt{2}(\gt 1)배이므로 BPSK의 성능이 더 좋다.
  4. PSK신호는 위상(시간)에 정보가 실려있으므로 시간 정보를 취하지 않는 비동기 검파가 불가하나, DPSK라면 차이에 정보가 실리므로 반송파 복구 없이 복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8번

OFDM에서는 부반송파 간의 직교성이 있지만 심볼간간섭은 시간 영역에서 심볼들이 겹치는 것을 의미하므로 부반송파 간의 직교성과 무관하게 생기는 문제이다. 따라서 답은 4번 이다.

9번

주어진 영역의 넓이는

S=0212πe(x2)22dx=2112πex22dx=1212πex22dx=Q(1)Q(2)\begin{equation} \begin{split} S&=\int_0^2\frac{1}{\sqrt{2\pi}}e^{-\frac{(x-2)^2}{2}}dx\\ &=\int_{-2}^{-1}\frac{1}{\sqrt{2\pi}}e^{-\frac{x^2}{2}}dx\\ &=\int_1^2\frac{1}{\sqrt{2\pi}}e^{-\frac{x^2}{2}}dx\\ &=Q(1)-Q(2)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10번

전체 확률이 1이므로

1=f(x,y)dxdy=A0e2xdx0e2ydy=A×12×12=A4A=4\begin{equation} \begin{split} 1&=\int_{-\infty}^\infty\int_{-\infty}^\infty f(x,y)dxdy\\ &=A\int_0^\infty e^{-2x}dx\int_0^\infty e^{-2y}dy\\ &=A\times\frac{1}{2}\times\frac{1}{2}\\ &=\frac{A}{4}\\ \Rightarrow A&=4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4번 이다.

11번

y(t)=x(t)h(t)y(t)=x(t)*h(t)를 구하기 위해 x(t)x(t)를 뒤집은 후 움직여보자.

  1. tt(1,2)(1,2) 구간에 있을 때 δ(t1)\delta(t-1)만 사각형 내에 있으므로 y(t)=1y(t)=1이다.
  2. 다음으로 tt(2,3)(2,3) 구간에 있을 때 δ(t1),δ(t2)\delta(t-1),\delta(t-2)가 사각형 내에 있으므로 y(t)=2y(t)=2이다.
  3. tt(3,4)(3,4)에 있을 때 δ(t2),δ(t3)\delta(t-2),-\delta(t-3) 두 개가 사각형이 있는 구간 내에 있으므로 y(t)=0y(t)=0이다.
  4. 마지막으로 tt(4,5)(4,5)에 있을 때 δ(t3)-\delta(t-3)만 사각형이 있는 구간 내에 있으므로 y(t)=1y(t)=-1이다.

따라서 전체 넓이는 1+2+01=21+2+0-1=2이므로 구간 길이 4로 나누면 y(t)y(t)의 평균값은 24=0.5\frac{2}{4}=0.5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2번

주기함수이므로 한 주기 TT에 대해서 적분하고 평균을 구해서 자기상관을 구한다.

Rf(τ)=1T0Tsinω0t×sinω0(t+τ)dt=1T×120T(cos(ω0τ))cos(2ω0t+ω0τ)dt=12cosω0τ\begin{equation} \begin{split} R_f(\tau)&=\frac{1}{T}\int_0^T sin\omega_0t\times sin\omega_0(t+\tau)dt\\ &=\frac{1}{T}\times\frac{1}{2}\int_0^T (cos(-\omega_0\tau))-cos(2\omega_0t+\omega_0\tau)dt\\ &=\frac{1}{2}cos\omega_0\tau \end{split} \end{equation}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13번

sinc함수의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기 위해 f(t)f(t)를 다시 쓰면

f(t)=Wsinc(Wπt)f(t)=Wsinc\left( \frac{W}{\pi}t\right)

이다. 따라서 이의 푸리에 변환은

F{f(t)}=W×πWrect(πWω2π)=πrect(ω2W)\begin{equation} \begin{split} \mathcal{F}\{f(t)\}&=W\times\frac{\pi}{W}rect\left(\frac{\pi}{W}\cdot\frac{\omega}{2\pi}\right)\\ &=\pi rect\left(\frac{\omega}{2W}\right) \end{split} \end{equation}

그리고 cosω0tcos\omega_0 t의 푸리에 변환은

F{cosω0t}=π(δ(ωω0)+δ(ω+ω0))\mathcal{F}\{cos\omega_0 t\}=\pi\left(\delta(\omega-\omega_0)+\delta(\omega+\omega_0)\right)

이므로 f(t)f(t)cosω0tcos\omega_0 t를 곱한 것의 푸리에 변환은

F{f(t)cosω0t}=12π(πrect(ω2W)(π(δ(ωω0)+δ(ω+ω0))))=π2rect(ωω02W)+π2rect(ω+ω02W)\begin{equation} \begin{split} \mathcal{F}\{f(t)cos\omega_0 t\}&=\frac{1}{2\pi}\left(\pi rect\left(\frac{\omega}{2W}\right)*\left(\pi(\delta(\omega-\omega_0)+\delta(\omega+\omega_0)) \right)\right)\\ &=\frac{\pi}{2}rect\left(\frac{\omega-\omega_0}{2W} \right)+\frac{\pi}{2}rect\left(\frac{\omega+\omega_0}{2W} \right)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4번

LPF의 컷오프 주파수는 각주파수로 표현하면 600π600\pi이다. 따라서 2cos(800πt)\sqrt{2}cos(800\pi t)는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출력의 평균 전력은

Py=12((22)2+(2)2)=12(8+2)=5\begin{equation} \begin{split} P_y&=\frac{1}{2}\left(\left(2\sqrt{2}\right)^2+\left(\sqrt{2}\right)^2\right)\\ &=\frac{1}{2}(8+2)\\ &=5 \end{split} \end{equation}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15번

Reed-Solomon 부호는 채널 코딩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6번

나이퀴스트 비트율은 잡음이 없는 환경에서, 섀넌 용량은 잡음이 있는 환경에서 전송률의 상한값을 알려준다. 신호 준위 개수를 알려주진 않는다. 따라서 답은 4번이다.

17번

4B/5B 부호기는 4비트의 데이터를 5비트로 부호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선 100 Mbps를 만들기 위해서는 100×54=125100\times\frac{5}{4}=125 Mbps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MLT-3의 대역폭 효율이 3 정도이므로 125/342125/3\approx 42 Mbps이다. 그러므로 답은 1번 이다.

18번

P(sent=1rcvd=1)=P(sent=1 and rcvd=1)P(rcvd=1sent=1)P(sent=1)+P(rcvd=1sent=0)P(sent=0)=P(sent=1)P(rcvd=1sent=1)P(rcvd=1sent=1)P(sent=1)+P(rcvd=1sent=0)P(sent=0)=25×4545×25+11035=1616+3=1619\begin{equation} \begin{split} P(sent=1|rcvd=1)&=\frac{P(sent=1\text{ }and\text{ }rcvd=1)}{P(rcvd=1|sent=1)P(sent=1)+P(rcvd=1|sent=0)P(sent=0)}\\ &=\frac{P(sent=1)P(rcvd=1|sent=1)}{P(rcvd=1|sent=1)P(sent=1)+P(rcvd=1|sent=0)P(sent=0)}\\ &=\frac{\frac{2}{5}\times\frac{4}{5}}{\frac{4}{5}\times\frac{2}{5}+\frac{1}{10}\frac{3}{5}}\\ &=\frac{16}{16+3}\\ &=\frac{16}{19} \end{split} \end{equation}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19번

Pr[XX^]=23112πσe(t2)22σ2dt+13112πσe(t+2)22σ2dt=233σ12πet22dt+131σ12σet22dt=23Q(3σ)+13Q(1σ)\begin{equation} \begin{split} Pr[X\neq \hat{X}]&=\frac{2}{3}\int_{-\infty}^{-1}\frac{1}{\sqrt{2\pi}\sigma}e^{-\frac{(t-2)^2}{2\sigma^2}}dt+\frac{1}{3}\int_{-1}^\infty\frac{1}{\sqrt{2\pi}\sigma}e^{-\frac{(t+2)^2}{2\sigma^2}}dt\\ &=\frac{2}{3}\int_{-\infty}^{-\frac{3}{\sigma}}\frac{1}{\sqrt{2\pi}}e^{-\frac{t^2}2}dt+\frac{1}{3}\int_{\frac{1}{\sigma}}^{\infty}\frac{1}{\sqrt{2\sigma}}e^{-\frac{t^2}{2}}dt\\ &=\frac{2}{3}Q\left(\frac{3}{\sigma} \right)+\frac{1}{3}Q\left(\frac{1}{\sigma} \right)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20번

  1. 심볼 오율은 전체 확률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확률을 뺀 것이므로 1(1p)2=2pp21-(1-p)^2=2p-p^2이다.
  2. 심볼당 2비트가 실리므로 초당 200개 비트 전송을 위해서는 초당 100개의 심볼을 전송하면 된다.
  3. 블록 오율은 전체 확률에서 블록의 모든 비트에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확률을 뺀 것이므로 1(1p)1001-(1-p)^{100}이다.
  4. 그렇다. I채널과 Q채널이 무관하기 때문에 각 비트의 오율은 BPSK나 QPSK에서나 같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