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7급 국가직 전자회로
1번
- 발진기는 내부 잡음을 정귀환시켜서 발진 신호를 만들어내므로 입력신호가 필요하지 않다.
- 폐루프 이득이 정상상태에서 1이어야 일정한 발진 신호가 유지된다.
- 폐루프 이득이 시동상태에서 1보다 커야 작은 신호가 커질 것이다.
- 폐루프의 위상변이가 180∘이면 뺄셈이 되니 안된다. 위상변이가 0이어야 발진이 시작되고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답은 4번이다.
2번
생각을 편하게 하기 위해 초기에 출력 전압이 0이라고 하자.
Vi>0이면 다이오드가 도통되고 출력전압은 0이다. 또한 커패시터에는
VC=(오른쪽전압)−(왼쪽전압)=Vi 만큼 충전된다.
다음으로 Vi<0이면 다이오드가 꺼지고, 시정수가 매우 크므로 방전은 일어나지 않으니 전류가 흐르지 않고,
Vi+VC=2Vi 가 출력된다.
따라서 답은 1번이다.
3번
20 kHz 음성신호의 나이퀴스트 샘플 속도는
2×20=40 이다. 8비트 양자화를 하므로 둘을 곱하면 320 kbps가 되므로 답은 4번이다.
4번
- R2는 출력 전압의 크기와 상관이 있다. 비반전 증폭기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 발진 주파수는 R1이 아닌 R과 관련이 있다. 1번과 마찬가지 이유로 R1은 출력 전압 크기와 관련이 있다.
- R은 출력 전압에서 원하는 주파수만 골라내는 밴드패스필터의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발진 주파수와 관련이 있다.
- 접지와 연결된 RC 회로의 임피던스는 둘의 병렬 연결이므로
1+sCRR 이다. 그 오른쪽의 직렬 RC의 임피던스는R+sC1 이다.
Vo가 병렬 RC에 분배되어 OPAMP의 +단에 걸리고, 이 전압이 가상 도통에 의해 OPAMP의 −단으로 전달되어 증폭되고 다시 Vo가 나온다.
+단에 걸리는 전압을 구해보면V+=Vo1+sCRR+R+sC11+sCRR=VoR+R+sCR2+sC1+RR=Vo3sCR+s2C2R2+1sCR 이다. 이 값이 비반전 증폭 이득인1+R1R2 만큼 증폭되어 Vo가 되므로 식을 세우면Vo=(1+R1R2)⋅Vo3sCR+s2C2R2+1sCR 인데, 좌변과 우변이 같으려면 둘의 위상이 같아야 한다.
양변을 Vo로 나눠서 생각하면 좌변은 1이므로 우변의 복소수가 제거되기 위해선 분자의 s가 약분되어야 하고, 그러려면 분모의 s2C2R2=−1이 되어서 분모에는 3sCR만 남아야 한다.
그렇게 되면1=(1+R1R2)⋅Vo⋅31 이 되고, 이를 풀면R1R2=2 가 되므로 R2는 R1의 2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답은 3번이다.
5번
IC=βIB=100IB 이다. 2kΩ 저항을 IC1이 흐르므로 Q1의 컬렉터 전압은
이다.
한편, Q2의 컬렉터 전압은 0.7 V이고, 1kΩ저항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IB1+IC1=1.01IC1이다.
이로부터 Q1의 이미터 전압은
0.7+1⋅1.01⋅IC1 임을 알 수 있다. 이 이미터 전압에 0.7 V를 더하면 Q1의 베이스 전압이 나오고, Q1의 컬렉터 전압에서 베이스 전압을 뺀 만큼이 100kΩ가 IB1을 흘리게 되면서 낮추는 전압이다.
식을 세워 계산하면
5−2IC1−(0.7+1.01IC1+0.7)=100⋅IC1/100⇒3.6−3.01IC1=IC1⇒3.6=4.01IC1⇒IC1≒0.9 이므로 답은 3번이다.
6번
IDQ=IDSS⋅(1−VGS(OFF)VGS)2 이므로 계산하면
IDQ=10⋅(1−−8−2)2=10⋅169=5.625 이다. 그리고
VDSQ=VDD−RDIDQ=20−2⋅5.625=8.75 이므로 답은 2번이다.
7번
가상 도통을 이용하면
(45−(−10))⋅10+11−10=Vos 이므로 계산하면
Vos=−5 V 이므로 답은 1번이다.
8번
(이득)×(대역폭)은 일정하다. 따라서
1⋅10⋅106=(1+199)⋅B=100B 이므로
B=105=0.1 Mhz 이다. 따라서 답은 2번이다.
9번
베이스로 분배되는 전압 비율은
100k+rπrπ=1022=511 이다. 그리고
β=gmrπ=100 이므로
gm=0.05Ω−1 이다.
입력 신호가 모두 베이스로 전달된다고 가정했을 때의 소신호 전압증폭도는
gmRC=0.05⋅2000=100 이다.
따라서 최종적인 소신호 전압증폭도는 여기에 베이스로의 전압 분배 비율을 곱한
511⋅100≒1.96 이므로 답은 2번이다.(부호는 무시했다.)
10번
M이 켜지면 D에는 역전압이 걸리기 때문에 D는 꺼지고, 모든 전류는 L을 통해서 흐르게 된다. 그러다 M이 꺼지면 L은 전류를 계속 흘리고 싶어하는데, 이 전류는 C와 저항을 지나서 D를 통해서 다시 L로 돌아온다.
이 전류가 흐름에 의해 생기는 저항의 DC 전압이 −100 V이다. M이 켜지는 동안에는 전압원의 100 V가 M을 통해 전달되므로, D에 인가되는 역전압은
PIV=100−(−100)=200 이므로 답은 4번이다. 듀티비는 왜 줬는지 모르겠다.
11번
먼저 Rif를 구하자. 그러기 위해
이므로,
Vi=VS−βVo=VS−AβVi 임에 따라
Vi=1+AβVS 임에 주목하자. 이를 해석해보면 전류는 1+Aβ배 작게 흐르는 효과가 나타나고, 이는 저항이 그 비율로 커지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다음으로 Rof를 구하자. VS=0으로 놓으면
Vi=−βVo 이고, 이를 대입하면
AVi=−AβVo 이다. Ro에 걸리는 전압은
Vo−(−AβVo)=Vo(1+Aβ) 이다. 따라서 전류는 1+Aβ배 크게 흐르는 효과가 나타나고, 이는 저항이 그 비율로 작은 것처럼 보이게 한다.
정리하면
Rif=(1+Aβ)Ri,Rof=1+AβRo 이므로 답은 2번이다.
12번
X+Y=X⋅YXY=X+Y 을 이용하자.
Y에 있는 버블을 왼쪽으로 옮기고 OR 연산을 AND로 바꾼다. 그러면 안쪽의 버블들끼리 상쇄된다.
위쪽 게이트의 출력은 A+B이고, 아래쪽 게이트의 출력은 A+B이다. 이 둘을 AND시키면
(A+B)(A+B)=AB+A⋅B 이므로 답은 4번이다.
13번
a를 변조 상수라고 하고, 메시지 전력을 Pm이라 하면 피변조파 전력
PAM=2Ac2(1+a2Pm) 이다. 여기서 메시지 부분이 이렇게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어떤 신호를 m(t)라 하고, 그 전력을 Pm이라 하면
P=T→∞limT1∫−2T2Tm2(t)cos2(2πfct)dt=T→∞limT1∫−2T2Tm2(t)×21(1+cos(4πfct))dt=21(T→∞limT1∫−2T2Tm2(t)dt+T→∞limT1∫−2T2Tm2(t)cos(4πfct)dt)=21T→∞limT1∫−2T2Tm2(t)dt=21Pm 이다. 위 식에서 ∫−2T2Tm2(t)cos(4πfct)dt는 0인데, 그 이유는 m(t)는 상대적으로 느린 데 비해 cos(4πfct)는 빠르므로 적분하면 양의 부분과 음의 부분이 상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력은 절반으로 줄어든다.
주어진 조건에서
1.32=1+a2Pm 이므로
a2Pm=0.32 이다. 이로부터 상측파 전력은
21a2Pm=0.16 이다. 따라서 답은 3번이다.
14번
하나하나 대입해서 풀어보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하면 위쪽 게이트의 출력은 1000이고, 아래쪽 게이트의 출력은 0100이다. 이 둘의 OR 연산 결과는 1100이다.
따라서 답은 1번이다.
15번
- 입력전압이 음의 최대 피크전압일 때 2챠측에도 크기가 가장 큰 음의 전압이 다이오드에 전달될 것이다.
- 권선비가 3:1이 되면 2차측에 생기는 전압은 최대 170/2=85 V에서 170/3=57 V 정도로 작아지니 저항에 흐르는 전류도 작아지고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도 작아진다.
- 다이오드 양단의 최대 역전압 PIV는 170/2=85 V이다.
- 정류된 출력의 피크전압은 85−0.7=84.3 V이다.
따라서 3번이 옳지 않다.
16번
1 kΩ의 전압 강하는 1⋅10=10 V이다. 따라서
VZ=10+VBE=10.7 이므로 답은 4번이다.
17번
빠른 풀이
단위가 Ω인 것을 찾는다. 1번은 Ω2, 2번은 Ω, 3번은 Ω2, 4번은 Ω4이다. 따라서 답이 될 수 있는 것은 2번이다.
극한을 이용한 풀이
DC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 커패시터는 존재감이 없어진다. 아래 쪽 OPAMP는 네거티브 피드백이 있으므로 테스트 입력 전압 V가 사라진 C와 가운데 RX 사이의 −단에도 걸린다.
그리고 가운데 RX의 왼쪽은 오픈된 상태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그 오른쪽에도 V가 걸린다. 이 V가 RX와 RY에 분배되어서
VRX+RYRY 가 위쪽 OPAMP의 +단에 걸린다.
이에 따라 위쪽 OPAMP에 입력되는 전압차는
VRX+RYRY−V=−VRX+RYRX 가 되어 V가 양수라면 −부호의 큰 값이 나와서 매우 큰 전류가 흘러들어가고, V가 음수라면 +부호의 큰 값이 나와서 매우 큰 전류가 흘러나온다.
따라서 저항은 매우 작을 것이다.
다음으로 주파수가 매우 높다고 하자. 이 경우 테스트 전압 V가 가상 도통되어 −단에도 걸릴 것이고, 커패시터는 도통되므로 RX와 C 사이의 전압도 V가 된다.
이에 따라 RX 양단의 전압차는 0이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버리고, 따라서 저항은 무한대가 된다.
정량적 풀이
두 OPAMP에 네거티브 피드백이 있음을 이용하자.
입력 전압을 V라 하자. 그러면 가운데 RX와 C 사이의 전압도 V이고, 오른쪽 RX와 RY 사이의 전압도 V이다.
가운데 RX를 흐르는 전류는
RXV−V(1+RYRX)=RYV 이다. 이 전류는 C를 타고 올 수밖에 없으므로 왼쪽 RX와 C 사이의 전압은
V+RYV/jωC 이다. 따라서 제일 왼쪽 RX를 타고 입력되는 전류는
RXV−(V+RYV/jωC)=jωCRXRYV 이다. 이로부터 입력 임피던스는
Zin=V/(jωCRXRYV)=jωCRXRY 가 된다.
18번
- 계수형 구조: 내부 카운터(계수기)의 디지털 값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통해 아날로그화한 값이 아날로그 입력보다 커질 때의 카운터의 디지털 값을 출력하는 구조이다. 회로가 간단하나 변환시간이 길고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변환시간이 달라진다.
- R-2R 사다리 구조: R-2R 사다리 구조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구조로 알고 있다.
- 병렬(flash) 구조: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병렬로 변환하므로 속도가 빠르나 복잡하고 비싸다.
- 이중 경사 구조: 일정 시간 동안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적분한 후 방전되는 시간을 카운터로 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3번이 답이다.
19번
저주파 이득은
Av=−아래쪽 임피던스위쪽 임피던스=1/gm+110=210=5 이다. 따라서 0.1μF 커패시터는 밀러 효과에 의해 (1+5)=6배가 되어 게이트와 그라운드 사이에 0.6μF 커패시터가 추가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게이트 쪽 총 커패시턴스는
CIN=1+0.6=1.6 이므로 답은 2번이다.
20번
S=1,R=0이면 X=0,Y=1이고, S=0,R=1이면 X=1,Y=0이다.
이로부터 이 플립플롭의 S=1이면 Y가 set되고, R=1이면 reset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번이 옳은 파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