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 PDF 파일을 로드하고 있습니다. 한참 걸릴 수도 있어요 ㅠㅠ 30초 이상 걸리면 새로고침을 한번 해보세요.

2019 7급 국가직 전자회로

1번

나이퀴스트 표본화 주파수는

fs=15×2=30\begin{equation} \begin{split} f_s&=15\times 2\\ &=30 \end{split} \end{equation}

이다. 256256레벨을 사용하므로 필요 비트 수는

log2256=8log_2{256}=8

이다. 이 둘을 곱하면 240240 kbps가 나오므로 답은 2번이다.

2번

Accos(ωct+S(t)dt)=Accos(ωct)cos(S(t)dt)Acsin(ωct)sin(S(t)dt)A_ccos\left(\omega_ct+\int S(t)dt\right)=A_ccos(\omega_ct)cos\left(\int S(t)dt\right)-A_csin(\omega_ct)sin(\int S(t)dt)

이다. 이 때

S(t)dt1\int S(t)dt \ll 1

이라면

cos(S(t)dt)1sin(S(t)dt)S(t)dt\begin{gather} cos\left(\int S(t)dt\right)&\thickapprox 1\\ sin\left(\int S(t)dt\right)&\thickapprox \int S(t)dt \end{gather}

이다. 따라서 피변조 신호는

Accos(ωct)Acsin(ωct)S(t)dtA_ccos(\omega_ct)-Acsin(\omega_ct)\int S(t)dt

이므로 A에 들어갈 회로는 적분기이고. 이에 해당하는 것은 3번이다.

3번

Y=ABC+ABC+ABC+ABC=ABC+AB+ABC=AB+AB=B\begin{equation} \begin{split} Y&=\overline{A}\cdot \overline{B}\cdot\overline{C}+A\overline{B}\cdot\overline{C}+\overline{A}\cdot\overline{B}C+A\overline{B}C\\ &=\overline{A}\cdot\overline{B}\cdot\overline{C}+A\overline{B}+\overline{A}\cdot\overline{B}C\\ &=\overline{A}\cdot\overline{B}+A\overline{B}\\ &=\overline{B}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카르노 맵으로 풀지 마시라.

4번

  1. 주어진 게이트는 두 입력이 11이어야만 00이 나오는 NAND 게이트이다. 한편 입력들은 NOT게이트를 통과한 것들이므로
    F=NAND(A,B)=AB=A+B\begin{equation} \begin{split} F&=NAND(\overline{A},\overline{B})\\ &=\overline{\overline{A}\cdot\overline{B}}\\ &=A+B \end{split} \end{equation}
    이다.
  2. 오른쪽 게이트 앞의 버블을 입력으로 넘기고 연산을 바꾸면 F=ABF=AB가 된다.
  3. 왼쪽 게이트는 NAND이고 오른쪽 게이트는 NOT이므로 최종 출력은 AND이다. 따라서 F=ABF=AB이다.
  4. 주어진 게이트는 1번과 반대이므로 NOR 게이트이고, 입력들이 NOT되어 있으므로
    F=NOR(A,B)=A+B=AB\begin{equation} \begin{split} F&=NOR(\overline{A},\overline{B})\\ &=\overline{\overline{A}+\overline{B}}\\ &=AB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1번이다. 더 빠른 풀이를 생각해보자. 1번과 3번을 비교해보면 뒤에 NOT게이트가 있느냐 없느냐가 다르므로 이 둘 중 하나가 답이다. 다음으로 1번과 4번을 비교해보면 서로 반대 동작을 하므로 둘 중 하나가 답이다. 따라서 공통적인 1번이 답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5번

전압 분배를 생각해보면

Vout1=RD1gm+RSV_{out1}=-\frac{R_D}{\frac{1}{g_m}+R_S}

이고,

Vout2=RS1gm+RSV_{out2}=\frac{R_S}{\frac{1}{g_m}+R_S}

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면

RD=RSR_D=R_S

이므로 답은 4번이다.

6번

M1M1의 게이트로 들어오는 신호를 ss라 하자. 이 ssRDR_DCDC_D로 이루어진 필터를 세 번 거치고, 거기에 위상은 세 번 반전되어서 다시 ss가 된다. 따라서 필터 하나에 의한 위상변화를 pp라 하면

180+p180+p180+p=540+3p=360n\begin{equation} \begin{split} -180^\circ+p-180^\circ+p-180^\circ+p&=-540^\circ+3p\\ &=360^\circ n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n=1n=-1이라 하면

3p=±180p=±60\begin{gather} 3p=\pm 180^\circ\\ \Rightarrow p=\pm 60^\circ \end{gather}

이다. 이 위상 변화를 만드는 임피던스는 RDR_DCDC_D의 병렬이므로 발진주파수를 ω0\omega_0으로 놓고 계산하면

RD1jω0CDRD+1jω0CD=RD1+jω0CDRD=(1jω0CDRD) (Re는 실수)\begin{equation} \begin{split} \frac{R_D\cdot \frac{1}{j\omega_0 C_D}}{R_D+\frac{1}{j\omega_0 C_D}}&=\frac{R_D}{1+j\omega_0 C_DR_D}\\ &=\Re(1-j\omega_0 C_DR_D)\text{ (}Re\text{는 실수)} \end{split} \end{equation}

이고, 위상의 크기가 6060^\circ가 되게 하는 값을 찾으면

ω0CDRD=3ω0=3RDCD\begin{gather} \omega_0 C_DR_D=\sqrt{3}\\ \Rightarrow \omega_0=\frac{\sqrt{3}}{R_DC_D} \end{gather}

이다. 이 발진주파수를 이용해서 필터의 임피던스를 계산하면

RD1+\j3\frac{R_D}{1+\j\sqrt{3}}

이므로 한 단의 전압이득은

gmRD1+\j3g_m\cdot \frac{R_D}{1+\j\sqrt{3}}

인데, 이 값이 세제곱되어서 ss에 곱해져서 돌아온다. 따라서 이 값의 크기가 11 이상이어야만 세제곱되었을 때 줄어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1+3=2\left|1+\sqrt{3}\right|=2

이므로

gmRD2RD2gm\begin{gather} g_mR_D\geqq 2\\ \Rightarrow R_D\geqq \frac{2}{g_m} \end{gather}

이고 답은 3번이다.

7번

제너 전압이 4.74.7 V이고 VBE=0.7V_{BE}=0.7 V이므로

VOUT=4.70.7=4V_{OUT}=4.7-0.7=4

이다. 출력 전류는

410=400\frac{4}{10}=400

이고, 530Ω530\Omega 저항을 흐르는 전류는

104.7530=5.3530=10\begin{equation} \begin{split} \frac{10-4.7}{530}&=\frac{5.3}{530}\\ &=10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IZ=6I_Z=6

가 되어야 나머지 44 mA가 베이스로 흘러들어가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이로부터 답은 2번이다.

8번

VinV_{in}++이고 크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R2R_2쪽의 다이오드가 도통될 것인데, 이 때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는 11 V이므로

Vout=(Vin1)R2R1+R2+1=(Vin1)31+3+1=Vin34+0.25\begin{equation} \begin{split} V_{out}&=(V_{in}-1)\frac{R_2}{R_1+R_2}+1\\ &=(V_{in}-1)\frac{3}{1+3}+1\\ &=V_{in}\cdot\frac{3}{4}+0.25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 값의 최댓값은 Vin=3V_{in}=3일 때이므로 계산하면 2.52.5 V가 된다. 다음으로 VinV_{in}-이고 크기는 크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R1R_1쪽의 다이오드가 도통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계산하면

Vout=(1Vin)R1R1+R2+Vin=VinR2R1+R2R1R1+R2=Vin3414\begin{equation} \begin{split} V_{out}&=(-1-V_{in})\frac{R_1}{R_1+R_2}+V_{in}\\ &=V_{in}\cdot \frac{R_2}{R_1+R_2}-\frac{R_1}{R_1+R_2}\\ &=V_{in}\cdot \frac{3}{4}-\frac{1}{4}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최솟값은 Vin=3V_{in}=-3일 때이므로 계산하면 2.5-2.5 V이므로 답은 4번이다.

9번

반전 증폭기이므로 전압이득은

VoutVin=10020=5\begin{equation} \begin{split} \frac{V_{out}}{V_{in}}&=-\frac{100}{20}\\ &=-5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입력 저항은 가상 접지에 의해 R2R_2의 오른쪽이 00 V와 같으므로 그대로 20kΩ20 k\Omega가 보이므로 답은 1번이다.

10번

어려운 단어에 겁먹을 필요 없다. 전류 I1I_1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I1=ISeVBEVTI_1=I_Se^{\frac{V_{BE}}{V_T}}

이므로 양변에 로그를 취하면

lnI1=lnIS+VBEVTln{I_1}=ln{I_S}+\frac{V_{BE}}{V_T}

이다. 온도가 올라가면 ISI_S가 증가하고, 따라서 lnISln{I_S}가 증가해서 곡선은 위쪽으로 움직인다. 다음으로 VTV_T또한 증가하므로 기울기는 작아져야 한다. 이 둘을 만족하는 곡선은 A이므로 답은 1번이다.

11번

오른쪽 래치에서 Q=0Q=0일 때 Q=1\overline{Q}=1이려면 아래쪽 게이트의 다른 입력은 00이어야만 한다. 이 때 SS 위쪽 게이트의 다른 입력에는 상관없이 Q=0Q=0이다. 이들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S=1,R=0S=1, R=0일 때 Q=1Q=1이 나오는 래치라는 것이다. 이를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보면 먼저 T3-T4 구간에서는 R=1R=1이므로 Q=0Q=0이고, T6-T7 구간에서는 CLK=0CLK=0이므로 앞선 구간인 T5-T6에서 S=1S=1에 의한 출력인 Q=1Q=1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답은 2번이다.

12번

  1. 게이트 산화막 두께가 얇아질수록 전계가 잘 전달되니 트랜지스터의 전류는 증가한다.
  2. 드레인-소스 전압에 따라 전류가 변하는 현상은 채널길이변조라고 한다. 몸체 효과는 서브스트레이트의 전압 변화에 의한 현상이다.
  3. 채널 길이가 짧아지면 드레인-소스 전압에 의한 실질 채널 길이 변화의 비율이 커지니 채널길이변조 현상은 커진다.
  4. 게이트-소스 전압이 문턱 전압보다 크고 게이트-드레인 전압이 문턱 전압보다 작을 때 트랜지스터는 트라이오드 영역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1번이 옳다.

13번

클럭이 들어올 때마다 논리 ‘1’의 값이 반전되므로 플립플롭 하나 거칠 때마다 주파수는 절반이 된다. 따라서 세 개의 플립플롭을 거쳤으므로 주파수는

(12)3=18\left(\frac{1}{2}\right)^3=\frac{1}{8}

배가 되어 100100 MHz가 되므로 답은 4번이다.

14번

주어진 조건에서 R1C1R_1C_1로 이루어진 LPF에 의한 컷오프 주파수가 10410^4 Hz인데 입력 주파수는 10510^5 Hz이므로 연산증폭기에 입력되는 전압은 VinV_{in}보다 작아진다. 어느 정도로 줄어드는지 계산해보면

11+j2πfR1C11j104105=1j10\frac{1}{1+j2\pi f R_1 C_1}\thickapprox \frac{1}{j10^{-4}\cdot 10^5}=\frac{1}{j10}

이다. 따라서 크기가 frac1010=1frac{10}{10}=1 V로 줄어든다. 다음으로 비반전 증폭되므로 증폭도는

1+9RR=1+9=10\begin{equation} \begin{split} 1+\frac{9R}{R}&=1+9\\ &=10 \end{split} \end{equation}

가 되어서 출력 전압의 최대치는 1010 V가 된다. 이 전압이 다이오드 2개를 거쳐서 VoutV_{out}의 첨두간 전압이 되므로 계산하면

1020.7=8.610-2\cdot 0.7=8.6

가 되므로 답은 3번이다.

15번

출력 쪽의 임피던스는

(R+sL)1sC=R+sL1+sRC+s2LC=R(1+sL/R)1+sRC+s2LC\begin{equation} \begin{split} (R+sL) \left| \right|\frac{1}{sC}&=\frac{R+sL}{1+sRC+s^2LC}\\ &=\frac{R(1+sL/R)}{1+sRC+s^2LC}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여기에 gm-g_m을 곱하면 되므로 정리하면

gmR[1+s(L/R)]1+sRC+s2LC-\frac{g_mR[1+s(L/R)]}{1+sRC+s^2LC}

이므로 답은 3번이다.

16번

네거티브 피드백이 존재하므로 11 V가 그대로 1kΩ1 k\Omega 저항에 가해지고, 전류는 1mA1 mA인데 이 전류는 드레인에서 오고 있다. 포화 영역에서의 드레인 전류 식은

ID=12knWL(VGSVth)2I_D=\frac{1}{2}k_n\frac{W}{L}\left(V_{GS}-V_{th}\right)^2

이므로 방정식을 세우면

12200×10610(VG10.8)2=1×103(VG1.8)2=1VG=2.8\begin{gather} \frac{1}{2}\cdot 200\times 10^{-6}\cdot 10\cdot (V_G-1-0.8)^2=1\times 10^{-3}\\ \Rightarrow (V_G-1.8)^2=1\\ \Rightarrow V_G=2.8 \end{gather}

이다.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려면 드레인 전압은 게이트 전압에서 문턱전압을 뺀 전압보다는 커야 한다. 이로부터 식을 세우면

101RD2.80.810RD2RD8 kΩ\begin{gather} 10-1\cdot R_D \geqq 2.8-0.8\\ \Rightarrow 10-R_D \geqq 2 \\ \Rightarrow R_D \leqq 8 \text{ k}\Omega \end{gather}

이므로 답은 4번이다.

17번

gm=dIDdVG=ID(Q3)ID(Q1)VGS=1.2VGS=0.6=7.42.00.6=9 mΩ1\begin{equation} \begin{split} g_m&=\frac{d I_D}{dV_G}\\ &=\frac{I_D(Q_3)-I_D(Q_1)}{V_{GS}=1.2 - V_{GS}=0.6}\\ &=\frac{7.4-2.0}{0.6}\\ &=9 \text{ m}\Omega^{-1}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다음으로, 이 트랜지스터의 자체 출력 저항 rDSr_{DS}만이 전압 증폭에 기여하므로(왜일까?) 주어진 그래프에서

rDS=dVDSdIDQ1=VDS=1.0VDS=0.6ID(Q2)ID(Q1)=1.00.62.22.0=0.40.2=2 kΩ\begin{equation} \begin{split} r_{DS}&=\left.\frac{dV_{DS}}{dI_D}\right|_{Q_1}\\ &=\frac{V_{DS}=1.0-V_{DS}=0.6}{I_D(Q_2)-I_D(Q_1)}\\ &=\frac{1.0-0.6}{2.2-2.0}\\ &=\frac{0.4}{0.2}\\ &=2 \text{ k}\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전압이득은

VoutVin=gmrDS=92=18\begin{equation} \begin{split} \left|\frac{V_{out}}{V_{in}}\right|&=g_mr_{DS}\\ &=9\cdot 2\\ &=18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이다.

18번

  1. I1=I2=I3=2I4I_1=I_2=I_3=2I_4이므로 I4=I12I_4=\frac{I_1}{2}이므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2. I1=I22=I32=I42I_1=\frac{I_2}{2}=\frac{I_3}{2}=\frac{I_4}{2}이므로 I4=2I1I_4=2I_1이다.
  3. I1=2I2=2I3=2(I44)=I42I_1=2I_2=2I_3=2(\frac{I_4}{4})=\frac{I_4}{2}이므로 I4=2I1I_4=2I_1이다.
  4. I1=I24=I34=2I44=I42I_1=\frac{I_2}{4}=\frac{I_3}{4}=\frac{2I_4}{4}=\frac{I_4}{2}이므로 I4=2I1I_4=2I_1이다.

따라서 답은 1번이다.

19번

  1. 공진을 일으키는 주파수에서 C1C_1L1L_1은 서로의 존재를 없애버릴 것이고, 남는 것은 저항 성분인 R1R_1이다. 양쪽이 서로의 출력을 입력으로 주고받을 때 발진 신호가 나오려면 gmR1g_mR_1이 곱해질 때마다 신호가 줄어들어야 하지 않아야 하므로
    gmR11R11gmg_mR_1 \geqq 1 \Rightarrow R_1 \geqq \frac{1}{g_m}
    이 되어야 한다.
  2. 발진 주파수는
    jωL11jωC1=L1C1jωL1+1jωC1=jωL11ω2L1C1=\begin{equation} \begin{split} j\omega L_1 || \frac{1}{j\omega C_1}&=\frac{\frac{L_1}{C_1}}{j\omega L_1 +\frac{1}{j\omega C_1}}\\ &=\frac{j\omega L_1}{1-\omega^2 L_1 C_1}\\ &=\infty \end{split} \end{equation}
    에서
    1=ω2L1C1ω=2πf=1L1C1f=12πL1C1\begin{gather} 1=\omega^2 L_1 C_1 \\ \Rightarrow \omega=2\pi f=\frac{1}{\sqrt{L_1C_1}}\\ \Rightarrow f=\frac{1}{2\pi \sqrt{L_1C_1}} \end{gather}
    이다.
  3. 맞는 것 같다.
  4. 한 쪽의 위상변화가 180180^\circ여야 두 번 증폭되어 오면 360360^\circ의 정수배의 위상 변화가 되어 정궤환되어 발진할 것이다.

따라서 답은 1번이다.

20번

직접 풀려면 쉽지 않은 문제이다. 여기서 한번 풀어볼테니 따라가기만 하고 결과는 외우도록 하자. 먼저 왼쪽 전류원의 전압을 V라 하자. 그리고 이 지점의 전류의 합은 00임을 이용해서 식을 세우자.

Iin(s)=sC1VsC2Vout(s)+VVout(s)R2I_{in}(s)=sC_1V-sC_2V_{out}(s)+\frac{V-V_{out}(s)}{R_2}

다음으로 R1R_1의 전류와 C2C_2의 전류가 같음을 이용하자.

VR1=sC2Vout(s)V=sR1C2Vout(s)\begin{gather} \frac{V}{R_1}=-sC_2V_{out}(s)\\ \Rightarrow V=-sR_1C_2V_{out}(s) \end{gather}

이를 첫 번째 식에 대입하면

Iin(s)=s2R1C1C2Vout(s)sC2Vout(s)sR1C2Vout(s)R2Vout(s)R2R2Iin(s)=s2R1R2C1C2Vout(s)sR2C2Vout(s)sR1C2Vout(s)Vout(s)R2Iin(s)=Vout(s)(s2R1R2C1C2+s(R1C2+R2C2)+1)Vout(s)Iin(s)=R2s2R1R2C1C2+s(R1C2+R2C2)+1Vout(s)Iin(s)=1R1C1C2s2+s(1R2C1+1R1C1)+1R1R2C1C2\begin{gather} I_{in}(s)=-s^2R_1C_1C_2V_{out}(s)-sC_2V_{out}(s)-\frac{sR_1C_2V_{out}(s)}{R_2}-\frac{V_{out}(s)}{R_2}\\ \Rightarrow R_2I_{in}(s)=-s^2R_1R_2C_1C_2V_{out}(s)-sR_2C_2V_{out}(s)-sR_1C_2V_{out}(s)-V_{out}(s)\\ \Rightarrow R_2I_{in}(s)=-V_{out}(s)(s^2R_1R_2C_1C_2 + s(R_1C_2+R_2C_2) + 1)\\ \Rightarrow \frac{V_{out}(s)}{I_{in}(s)}=-\frac{R_2}{s^2R_1R_2C_1C_2 + s(R_1C_2+R_2C_2) + 1}\\ \Rightarrow \frac{V_{out}(s)}{I_{in}(s)}=-\frac{\frac{1}{R_1C_1C_2}}{s^2+s\left(\frac{1}{R_2C_1}+\frac{1}{R_1C_1} \right)+\frac{1}{R_1R_2C_1C_2}} \end{gather}

이다. 한편 2차 필터의 일반식

H(s)=Ks2+as+bH(s)=\frac{K}{s^2+as+b}

에서 발진주파수는

ω0=b\omega_0=\sqrt{b}

이고, 양호도는

Q=ω0aQ=\frac{\omega_0}{a}

이다. 이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ω0=1R1R2C1C2\omega_0=\sqrt{\frac{1}{R_1R_2C_1C_2}}

이고, 양호도는

Q=1R1R2C1C2(1R2C1+1R1C1)=C1R1R2C2R1+R2=C1R1R2C2(R1+R2)2\begin{equation} \begin{split} Q&=\frac{\sqrt{\frac{1}{R_1R_2C_1C_2}}}{\left(\frac{1}{R_2C_1}+\frac{1}{R_1C_1} \right)}\\ &=\frac{\sqrt{\frac{C_1R_1R_2}{C_2}}}{R_1+R_2}\\ &=\sqrt{\frac{C_1R_1R_2}{C_2(R_1+R_2)^2} }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이다.

이를 잘 못 외우겠다면, 일단 답의 범위라도 줄여야 한다. 양호도 QQ는 어떤 비율로서 무차원의 양이다. 무차원에 해당하는 것은 2,3번 두개이므로 둘 중 하나가 답이라고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