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 PDF 파일을 로드하고 있습니다. 한참 걸릴 수도 있어요 ㅠㅠ 30초 이상 걸리면 새로고침을 한번 해보세요.

2016 7급 국가직 전기자기학

1번

  1. 전하가 저장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그렇다.
  2. 도체판 사이의 간격이 2배가 되면 같은 전압을 걸었을 때 전기장이 절반으로 약해지므로 끌어당겨서 저장할 수 있는 전하량도 절반이 된다. 따라서 정전용량은 절반이 된다.
  3. 비유전율이 2배가 되면 그만큼 전기장이 더 잘 전달되어 더 많은 전하를 끌어당겨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정전용량은 2배가 된다.
  4. 그렇다.
    Q=CVQ=CV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2번

두 인덕턴스의 결합 인덕턴스는

M=(L1L2)k=(10×10)0.5=10 mH\begin{equation} \begin{split} M&=(L_1L_2)^k\\ &=(10\times10)^0.5\\ &=10\text{ mH}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합성인덕턴스의 최댓값은 두 인덕턴스에 이 결합 인덕턴스가 같은 방향으로 연결되어서 더해질 때의 값이므로

L1+L2+M=10+10+10=30 mH\begin{equation} \begin{split} L_1+L_2+M&=10+10+10\\ &=30\text{ mH}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다음으로 최솟값은 두 인덕턴스에 이 결합 인덕턴스가 반대로 연결되어서 뺄셈이 될 떄의 값이므로

L1+L2M=10+1010=10 mH\begin{equation} \begin{split} L_1+L_2-M&=10+10-10\\ &=10\text{ mH}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3번

×H=J\nabla\times\vec{H}=\vec{J}

인데 조건에 의해 J=0\vec{J}=\vec{0}이다. 따라서 입사각과 투과각이 각각 θ1,θ2\theta_1,\theta_2라 하면 경계면에 평행한 자계의 사인 성분이 같아야 하므로

H1sinθ1=H2sinθ2B1μ1sinθ1=B2μ2sinθ2\begin{equation} \begin{split} H_1sin\theta_1&=H_2sin\theta_2\\ \Rightarrow \frac{B_1}{\mu_1}sin\theta_1&=\frac{B_2}{\mu_2}sin\theta_2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다음으로

B=0\nabla\cdot\vec{B}=0

에서 경계면에 수직인 자기선속의 코사인 성분이 같아야 하므로

B1cosθ1=B2cosθ2B_1cos\theta_1=B_2cos\theta_2

이다. 먼저 구한 식을 위 식으로 나누면

B1μ1sinθ1B1cosθ1=B2μ2sinθ2B2cosθ2tanθ1μ1=tanθ2μ2μ2tanθ1=μ1tanθ2\begin{equation} \begin{split} \frac{\frac{B_1}{\mu_1}sin\theta_1}{B_1cos\theta_1}&=\frac{\frac{B_2}{\mu_2}sin\theta_2}{B_2cos\theta_2}\\ \Rightarrow \frac{tan\theta_1}{\mu_1}&=\frac{tan\theta_2}{\mu_2}\\ \Rightarrow \mu_2 tan\theta_1&=\mu_1 tan\theta_2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4번

주어진 무한평면에서 원점 방향은 az-\vec{a_z} 방향이다. 그리고 무한평면의 전하들은 절반씩 위와 아래로 전기력선속 밀도를 만들고 있으므로 무한평면 아래에서의 전기력선속 밀도는

D=12×20×109×(az)=10×109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D}&=\frac{1}{2}\times20\times10^{-9}\times(-\vec{a_z})\\ &=-10\times10^{-9}\vec{a_z} \end{split} \end{equation}

그런데 D=ϵE\vec{D}=\epsilon\vec{E}이고 자유공간이므로

D=ϵ0E=10936πE=10×109azE=360π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D}&=\epsilon_0\vec{E}\\ &=\frac{10^{-9}}{36\pi}\vec{E}\\ &=-10\times10^{-9}\vec{a_z}\\ \Rightarrow \vec{E}&=-360\pi\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4번 이다.

5번

커패시턴스는

C=ϵSd=ϵ0Sx\begin{equation} \begin{split} C&=\epsilon\frac{S}{d}\\ &=\epsilon_0\frac{S}{x}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 커패시턴스에 저장된 에너지는

We=12Q2C=12Q2ϵ0Sx=12Q2xϵ0S\begin{equation} \begin{split} W_e&=\frac{1}{2}\frac{Q^2}{C}\\ &=\frac{1}{2}\frac{Q^2}{\epsilon_0\frac{S}{x}}\\ &=\frac{1}{2}\frac{Q^2x}{\epsilon_0 S} \end{split} \end{equation}

한편

dW=FdxF=dWdx\begin{equation} \begin{split} dW&=Fdx\\ \Rightarrow F&=\frac{dW}{dx}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에너지를 xx에 대해 미분하면 힘을 구할 수 있다.

F=dWedx=Q22ϵ0S\begin{equation} \begin{split} F&=\frac{dW_e}{dx}\\ &=\frac{Q^2}{2\epsilon_0 S} \end{split} \end{equation}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6번

직선도선의 굵기가 지나치게 크지 않다면, 즉 면적 OABC를 넘어가지 않는다면, 면적 OABC를 통과하는 전류량과 면적 OPQR을 통과하는 전류량은 같다. 그리고

Hdl=×HdS=I\begin{equation} \begin{split} \oint \vec{H}\cdot\vec{dl}&=\iint \nabla\times\vec{H}\vec{dS}\\ &=I \end{split} \end{equation}

이고, 위에서 두 경로가 만드는 면적을 통과하는 전류량은 서로 같음을 보였으므로

L2HdlL1Hdl=0\oint _{L_2}\vec{H}\cdot\vec{dl}-\oint _{L_1}\vec{H}\cdot\vec{dl}=0

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7번

전도전류밀도의 크기는

Jc=σEJ_c=\sigma E

이고 변위전류밀도의 크기는

Jd=jωϵE=ωϵE\begin{equation} \begin{split} J_d&=|j\omega \epsilon E|\\ &=\omega \epsilon E \end{split} \end{equation}

이다. Jc=10JdJc=10J_d이므로

σE=10ωϵE10=10ω×5ϵ0ω=15ϵ0f=12π×5ϵ0=110πϵ0\begin{equation} \begin{split} \sigma E&=10\omega \epsilon E\\ \Rightarrow 10&=10\omega\times 5\epsilon_0\\ \Rightarrow \omega&=\frac{1}{5\epsilon_0}\\ \Rightarrow f&=\frac{1}{2\pi\times5\epsilon_0}\\ &=\frac{1}{10\pi\epsilon_0}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4번 이다.

8번

칸막이의 임피던스를 ZpZ_p이라 하자. 칸막이 다음에 자유공간(Z0Z_0)이 붙어 있으므로 입사하는 쪽에서의 입력 임피던스는

Zin=ZpZ0+jZptan(βl)Zp+jZ0tan(βl)Z_{in}=Z_p\frac{Z_0+jZ_p tan(\beta l)}{Z_p+jZ_0 tan(\beta l)}

이다. 이 값이 자유공간 임피던스 Z0Z_0과 같으면 반사파가 없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tan(βl)=0tan(\beta l)=0

이어야 한다. 한편

β=2πλ\beta=\frac{2\pi}{\lambda}

이므로

tan(2πλl)=02πλl=mπ (m은 정수)l=mλ2\begin{equation} \begin{split} tan\left(\frac{2\pi}{\lambda} l\right)&=0\\ \Rightarrow \frac{2\pi}{\lambda} l&=m\pi\text{ (}m\text{은 정수)}\\ \Rightarrow l&=m\frac{\lambda}{2}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나무판 내에서의 전파 속도를 구해보면

c=ϵrv=2vv=c2=1.5×108\begin{equation} \begin{split} c&=\sqrt{\epsilon_r}v\\ &=2v\\ \Rightarrow v&=\frac{c}{2}\\ &=1.5\times10^8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로부터 나무판 내에서의 파장을 구해보면

λ=vf=1.5×1082.5×109=1.525=6 cm\begin{equation} \begin{split} \lambda&=\frac{v}{f}\\ &=\frac{1.5\times10^8}{2.5\times10^9}\\ &=\frac{1.5}{25}\\ &=6\text{ cm}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최소 나무판 두께는 m=1m=1일 때이므로

l=λ2=62=3 cm\begin{equation} \begin{split} l&=\frac{\lambda}{2}\\ &=\frac{6}{2}\\ &=3\text{ cm}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9번

부피의 변화율이 시간당 빠져나가는 공기의 양 PP이다.즉

ddt(43πR3)=P43π×3R2dRdt=PdRdt=P4πR2\begin{equation} \begin{split} \frac{d}{dt}\left(\frac{4}{3}\pi R^3\right)&=-P\\ \Rightarrow \frac{4}{3}\pi\times3R^2\frac{dR}{dt}&=-P\\ \Rightarrow \frac{dR}{dt}&=-\frac{P}{4\pi R^2} \end{split} \end{equation}

이다. 한편 자기장이 통과하는 면적은 S=πR2S=\pi R^2이므로

Φ=BS=BπR2\begin{equation} \begin{split} \Phi&=BS\\ &=B\pi R^2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유도기전력은

emf=Φt=t(BπR2)=Bπ×2RdRdt=Bπ×2R×(P4πR2)=BP2R\begin{equation} \begin{split} emf&=-\frac{\partial\Phi}{\partial t}\\ &=-\frac{\partial}{\partial t}(B\pi R^2)\\ &=-B\pi\times 2R\frac{dR}{dt}\\ &=-B\pi\times 2R\times\left(-\frac{P}{4\pi R^2}\right)\\ &=\frac{BP}{2R}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0번

Φ=BdS=02y1y1+0.50.2e0.1yazdydxaZ=2×0.2×y1y1+0.5e0.1ydy=0.4×10.1e0.1yy1y1+0.5=4×(e0.1y1e0.1(y1+0.5))\begin{equation} \begin{split} \Phi&=\iint \vec{B}\cdot\vec{dS}\\ &=\int _0^2\int_{y_1}^{y_1+0.5}0.2e^{-0.1y}\vec{a_z}\cdot dydx\vec{a_Z}\\ &=2\times0.2\times\int_{y_1}^{y_1+0.5}e^{-0.1y}dy\\ &=0.4\times\left.\frac{1}{-0.1}e^{-0.1y}\right|_{y_1}^{y_1+0.5}\\ &=4\times\left(e^{-0.1y_1}-e^{-0.1(y_1+0.5)}\right) \end{split} \end{equation}

이고, yy방향 속도 y1t=5\frac{\partial y_1}{\partial t}=5 이므로 y=2y=2일 때 유도기전력은

emf=Φt=t(4×(e0.1y1e0.1(y1+0.5)))=y1ty1(4×(e0.1y1e0.1(y1+0.5)))=5×4×(0.1e0.1y1+0.1e0.1(y1+0.5))=20×(0.1e0.20.1e0.25)=2(e0.2e0.25)\begin{equation} \begin{split} emf&=-\frac{\partial\Phi}{\partial t}\\ &=-\frac{\partial}{\partial t}\left(4\times\left(e^{-0.1y_1}-e^{-0.1(y_1+0.5)}\right)\right)\\ &=-\frac{\partial y_1}{\partial t}\frac{\partial}{\partial y_1}\left(4\times\left(e^{-0.1y_1}-e^{-0.1(y_1+0.5)}\right)\right)\\ &=-5\times4\times\left(-0.1e^{-0.1y_1}+0.1e^{-0.1(y_1+0.5)}\right)\\ &=20\times\left(0.1e^{-0.2}-0.1e^{-0.25}\right)\\ &=2\left(e^{-0.2}-e^{-0.25}\right)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전류는

I=emfR=25(e0.2e0.25)\begin{equation} \begin{split} I&=\frac{emf}{R}\\ &=\frac{2}{5}\left(e^{-0.2}-e^{0.25}\right)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11번

B=0\nabla\cdot \vec{B}=0

이므로 자하는 없다. 따라서 경계면의 법선성분 자기장은 들어온 만큼 그대로 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B1nB2n=0B_{1n}-B_{2n}=0

이 되어야 하므로 답은 4번 이다.

12번

Li=ΦLi=\Phi

이고 이 자속으로 인해 생기는 유도 기전력은

emf=Φt=t(Li)=Lit\begin{equation} \begin{split} emf&=-\frac{\partial \Phi}{\partial t}\\ &=-\frac{\partial}{\partial t}(Li)\\ &=-L\frac{\partial i}{\partial t}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유도되는 전압 파형은 전류의 미분이므로 델타 함수 형태의 순간적인 펄스파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답은 4번 이다.

13번

어떤 고정된 지점으로부터 바퀴축까지의 거리 xx와 철길로 생기는 면적을 SS라고 하자. 그러면

S=2xS=2x

이다. 한편 주어진 속도로부터

dxdt=72×1033600s=20 m/s\begin{equation} \begin{split} \frac{dx}{dt}&=72\times\frac{10^3}{3600 s}\\ &=20\text{ m/s} \end{split} \end{equation}

이다. SS를 통과하는 자속은

Φ=BS=2×103×S\begin{equation} \begin{split} \Phi&=BS\\ &=2\times10^{-3}\times S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유도기전력은

emf=Φt=2×103×St=2×103dSdt=2×103d(2x)dt=4×103dxdt=4×103×20=8times102 V\begin{equation} \begin{split} emf&=-\frac{\partial \Phi}{\partial t}\\ &=-\frac{\partial 2\times10^{-3}\times S}{\partial t}\\ &=-2\times10^{-3}\frac{dS}{dt}\\ &=-2\times10^{-3}\frac{d(2x)}{dt}\\ &=-4\times10^{-3}\frac{dx}{dt}\\ &=-4\times10^{-3}\times20\\ &=-8times10^{-2}\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그 크기만 고려하면 답은 3번 이다.

14번

  1. 주어진 매질의 임피던스는
    η=μϵ=μ0epsilon0×1000377100037732>1\begin{equation} \begin{split} \eta&=\sqrt{\frac{\mu}{\epsilon}}\\ &=\sqrt{\frac{\mu_0}{epsilon_0\times 1000}}\\ &\approx \frac{377}{\sqrt{1000}}\\ &\approx \frac{377}{32}\gt 1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H=EηH=\frac{E}{\eta}
    에서 1보다 큰 값으로 전계벡터의 크기를 나누므로 자계벡터의 크기가 더 작다.
  2. 그렇다.
    S=E×H\vec{S}=\vec{E}\times\vec{H}
    이다.
  3. 위상속도는
    v=1μϵv=\frac{1}{\sqrt{\mu \epsilon}}
    이므로 비유전율이 커지면 줄어든다.
  4. 0.1 mW는
    10log0.11=10 dBm10log\frac{0.1}{1}=-10\text{ dBm}
    이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15번

Q=CVQ=CV

이므로

QAQB=10C20C=12\begin{equation} \begin{split} \frac{Q_A}{Q_B}&=\frac{10C}{20C}\\ &=\frac{1}{2}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전기에너지는

W=12CV2W=\frac{1}{2}CV^2

이므로

WAWB=12C×10212C×202=14\begin{equation} \begin{split} \frac{W_A}{W_B}&=\frac{\frac{1}{2}C\times10^2}{\frac{1}{2}C\times20^2}\\ &=\frac{1}{4}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6번

전파정수는 외워두자. 그러나, 외우지 않더라도 풀 수 있다. α\alphaeαze^{-\alpha z}형태로 거리와 곱해져서 무차원 숫자가 되어 지수함수의 인자로 입력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들 중 거리의 역수 단위를 갖는 것을 찾자. LC\sqrt{\frac{L}{C}}는 저항 단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RR과 곱해지면 저항의 제곱 단위가 된다. 따라서 2,4번을 제외한다. 그러면

α=CL\alpha=\sqrt{\frac{C}{L}}

밖에 남지 않는다. 다음으로

β=ωLC\beta=\omega \sqrt{LC}

이다. 이 또한 외우지 않고도 ω\omega가 시간의 역수이므로 시간 단위를 갖는 LC\sqrt{LC}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남는 것은 3번 이다. 검증을 위해 위상속도를 살펴보면

vp=1LCv_p=\frac{1}{\sqrt{LC}}

이므로 3번이 옳음을 알 수 있다.

17번

공극이 없을 때 자기저항은

R=lμ0murS\mathcal{R}=\frac{l}{\mu_0mu_rS}

이다. 공극의 자기저항은

Rg=lgμ0S\mathcal{R_g}=\frac{l_g}{\mu_0S}

이므로 공극을 만들었을 때의 총 자기저항은

R+Rg=lμ0μrS+lgμ0S\mathcal{R}+\mathcal{R_g}=\frac{l}{\mu_0\mu_rS}+\frac{l_g}{\mu_0S}

이므로 공극이 없을 때의 자기저항으로 나누면

R+RgR=1+lgμ0Slμ0μrS=1+μrlgl\begin{equation} \begin{split} \frac{\mathcal{R}+\mathcal{R_g}}{\mathcal{R}}&=1+\frac{\frac{l_g}{\mu_0S}}{\frac{l}{\mu_0\mu_rS}}\\ &=1+\frac{\mu_r l_g}{l}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사실 이 또한 직접 계산하지 않고도 풀 수 있는데, 일단 자기저항은 더 클 것이므로 답은 1, 3번 중 하나이다. 다음으로 무차원 숫자 1과 더해질 수 있는 것은 마찬가지로 무차원 숫자이다. μr\mu_r은 무차원 숫자이므로, 길이를 길이로 나눈 lgl\frac{l_g}{l}과 곱해진 1번이 답이어야 한다. 3번은 면적의 역수의 단위를 가질 것이다.

18번

구 표면의 넓이는

S=4πr2=4π×22=16π m2\begin{equation} \begin{split} S&=4\pi r^2\\ &=4\pi\times2^2\\ &=16\pi\text{ m}^2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 넓이와 전속밀도의 곱이 총 전하이므로

Q=16π×20=320π C\begin{equation} \begin{split} Q&=16\pi\times 20\\ &=320\pi\text{ C}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구의 부피는

V=43πr3=43π×23=32π3 m3\begin{equation} \begin{split} V&=\frac{4}{3}\pi r^3\\ &=\frac{4}{3}\pi\times 2^3\\ &=\frac{32\pi}{3}\text{ m}^3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체적전하밀도를 구하기 위해서 위의 총 전하를 부피로 나누면

QV=320π32π3=30 C/m3\begin{equation} \begin{split} \frac{Q}{V}&=\frac{320\pi}{\frac{32\pi}{3}}\\ &=30\text{ C/m}^3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19번

동축선의 내경과 외경을 각각 a,ba,b라 하자. 단위길이당 정전용량은

C=2πϵlnba=2π×3ϵ0lnba=23×109lnba=6πϵ023=9πϵ0×109\begin{equation} \begin{split} C&=\frac{2\pi \epsilon}{ln\frac{b}{a}}\\ &=\frac{2\pi\times 3\epsilon_0}{ln\frac{b}{a}}\\ &=\frac{2}{3}\times10^{-9}\\ \Rightarrow ln\frac{b}{a}&=\frac{6\pi\epsilon_0}{\frac{2}{3}}\\ &=9\pi\epsilon_0\times10^9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단위길이당 인덕턴스는

L=μ2πlnba=3μ02πlnba=3μ02π×9πϵ0×109\begin{equation} \begin{split} L&=\frac{\mu}{2\pi}ln\frac{b}{a}\\ &=\frac{3\mu_0}{2\pi}ln\frac{b}{a}\\ &=\frac{3\mu_0}{2\pi}\times9\pi\epsilon_0\times10^9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특성 임피던스는

Z=LC=3μ02π×9πϵ0×109×10923=(32)2×32×μ0ϵ0=32×3×109×13×108=32×10 Ω\begin{equation} \begin{split} Z&=\sqrt{\frac{L}{C}}\\ &=\sqrt{\frac{\frac{3\mu_0}{2\pi}\times9\pi\epsilon_0\times10^9\times10^9}{\frac{2}{3}}}\\ &=\sqrt{\left(\frac{3}{2}\right)^2\times3^2\times \mu_0\epsilon_0}\\ &=\frac{3}{2}\times 3\times10^9\times\frac{1}{3\times 10^8}\\ &=\frac{3}{2}\times10\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3번 이다.

20번

전송선 쪽에서 본 입력 임피던스는

Zin,l=Z0ZL+jZ0tanβLZ0+jZLtanβLZ_{in,l}=Z_0\frac{Z_L+jZ_0tan\beta L}{Z_0+jZ_Ltan\beta L}

인데 ZL=Z_L=\infty이므로

Zin,l=Z01jtanβL=jZ0cotβL\begin{equation} \begin{split} Z_{in,l}&=Z_0\frac{1}{jtan\beta L}\\ &=-jZ_0cot\beta L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입력임피던스의 허수 부분이 0이 되기 위해서는

1jωC+Zin,l=0=j1ωC+(jZ0cotβL)C=1ωZ0cotβL\begin{equation} \begin{split} \frac{1}{j\omega C}+Z_{in,l}&=0\\ &=-j\frac{1}{\omega C}+(-jZ_0cot\beta L)\\ \Rightarrow C&=-\frac{1}{\omega Z_0cot\beta L}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