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지 PDF 파일을 로드하고 있습니다. 한참 걸릴 수도 있어요 ㅠㅠ 30초 이상 걸리면 새로고침을 한번 해보세요.

2015 7급 국가직 전기자기학

1번

도체판 사이에 유전체를 넣으면 커패시턴스 C=ϵSdC=\epsilon\frac{S}{d}가 증가한다. 그리고

Q=CVQ=CV

이므로 도체판에 모이는 전하량 QQ는 증가한다. 그리고 V=EdV=Ed인데 VVdd도 일정하므로 전계 EE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2번

영상전하법을 이용하자. 무한 평면 도체 반대쪽 z=dz=-d 지점에 +2Q+2Q인 전하가 있고, z=3dz=-3d 지점에 Q-Q 전하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 상황이다. 먼저 원하는 지점에 대한 z=dz=d2Q-2Q 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E1=2Q4πϵ0(2d)2aZ\vec{E_1}=\frac{-2Q}{4\pi\epsilon_0(2d)^2}\vec{a_Z}

이다. 다음으로 z=dz=-d 지점의 +2Q+2Q 영상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E2=2Q4πϵ0(4d)2az\vec{E_2}=\frac{2Q}{4\pi\epsilon_0(4d)^2}\vec{a_z}

이다. 그리고 z=3dz=-3d 지점의 Q-Q 영상전하에 의한 전기장은

E3=Q4πϵ0(6d)2az\vec{E_3}=\frac{-Q}{4\pi\epsilon_0(6d)^2}\vec{a_z}

이 셋을 다 더하면

E=E1+E2+E3=14πϵ0(2Q4d2+2Q16d2+Q36d2)az=14πϵ0(36Q+9Q2Q72d2)az=14πϵ029Q72d2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E}&=\vec{E_1}+\vec{E_2}+\vec{E_3}\\ &=\frac{1}{4\pi\epsilon_0}\left(\frac{-2Q}{4d^2}+\frac{2Q}{16d^2}+\frac{-Q}{36d^2}\right)\vec{a_z}\\ &=\frac{1}{4\pi\epsilon_0}\left(\frac{-36Q+9Q-2Q}{72d^2}\right)\vec{a_z}\\ &=\frac{1}{4\pi\epsilon_0}\frac{-29Q}{72d^2}\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z=3dz=3d에서 +Q+Q 전하가 받는 힘의 크기는

F=qE=14πϵ029Q272d2F=qE=\frac{1}{4\pi\epsilon_0}\frac{29Q^2}{72d^2}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3번

포인팅 벡터는

S=E×H=az1η(cos2(ωtkz)+sin2(ωtkz))=1ηaz\begin{equation} \begin{split} \vec{S}&=\vec{E}\times\vec{H}\\ &=\vec{a_z}\frac{1}{\eta}(cos^2(\omega t-kz)+sin^2(\omega t-kz))\\ &=\frac{1}{\eta}\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4번

전자파의 속도는

vp=1LC=1500×109×200×1012=108 m/sv_p=\frac{1}{\sqrt{L'C'}}=\frac{1}{\sqrt{500\times10^{-9}\times 200\times10^{-12}}}=10^8\text{ m/s}

이고 특성임피던스는

Z0=LC=500×109200×1012=50 ΩZ_0=\sqrt{\frac{L'}{C'}}=\sqrt{\frac{500\times10^{-9}}{200\times10^{-12}}}=50\text{ }\Omega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5번

전도전류가 1 A이므로

Jc=σE=1=σcEE=1σc\begin{equation} \begin{split} J_c&=\sigma E\\ &=1\\ &=\sigma_c E\\ \Rightarrow E&=\frac{1}{\sigma_c}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변위전류의 크기는

Jd=Dt=jωϵE=2π×50×2ϵ0×1σc=200πϵ0σc\begin{equation} \begin{split} J_d&=\left|\frac{\partial D}{\partial t}\right|\\ &=|j\omega \epsilon E|\\ &=2\pi\times50\times2\epsilon_0\times\frac{1}{\sigma_c}\\ &=200\pi\frac{\epsilon_0}{\sigma_c}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6번

B\vec{B}가 일정하므로

Φ=Bds=Bs\Phi=\int \vec{B}\cdot\vec{ds}=\vec{B}\vec{s}

이다. 면적 벡터 s\vec{s}

s=123x2az\vec{s}=\frac{1}{2}\sqrt{3}x^2\vec{a_z}

이다. 따라서

Φ=1az123x2az=123x2\Phi=1\vec{a_z}\cdot\frac{1}{2}\sqrt{3}x^2\vec{a_z}=\frac{1}{2}\sqrt{3}x^2

이다. 한편

ds=3xdxaz\vec{ds}=\sqrt{3}xdx\vec{a_z}

이므로 t=t0t=t_0일 때의 유도기전력은

emf(t=t0)=Φtt=t0=t(123x2)t=t0=3xdxdtt=t0=3×3t0×3=93t0 V\begin{equation} \begin{split} emf(t=t_0)&=-\left.\frac{\partial \Phi}{\partial t}\right|_{t=t_0}\\ &=-\left.\frac{\partial}{\partial t}\left(\frac{1}{2}\sqrt{3}x^2\right)\right|_{t=t_0}\\ &=-\left.\sqrt{3}x\frac{dx}{dt}\right|_{t=t_0}\\ &=-\sqrt{3}\times3t_0\times3\\ &=-9\sqrt{3}t_0\text{ V}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여기서 x=3t,dxdt=3x=3t, \frac{dx}{dt}=3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7번

원통 옆면으로 나가는 전속밀도는 없으므로 총 전하량은

Q=Dds=02π012ρcos2ϕaz(ρdρdϕaz)+02π01(2)ρcos2ϕaz(ρdρdϕaz)=02π014ρcos2ϕρdρdϕ=401ρ2dρ02πcos2ϕdϕ=4×13×02π12(1+cos2ϕ)dϕ=43×12×2π=4π3\begin{equation} \begin{split} Q&=\oiint\vec{D}\cdot\vec{ds}\\ &=\int_{0}^{2\pi}\int_0^1 2\rho cos^2\phi\vec{a_z}\cdot(\rho d\rho d\phi\vec{a_z})+\int_{0}^{2\pi}\int_0^1 (-2)\rho cos^2\phi\vec{a_z}\cdot(\rho d\rho d\phi\vec{-a_z})\\ &=\int_{0}^{2\pi}\int_0^1 4\rho cos^2\phi\cdot\rho d\rho d\phi\\ &=4\int_0^1 \rho^2d\rho\int_{0}^{2\pi}cos^2\phi d\phi\\ &=4\times\frac{1}{3}\times\int_{0}^{2\pi}\frac{1}{2}(1+cos2\phi)d\phi\\ &=\frac{4}{3}\times\frac{1}{2}\times2\pi\\ &=\frac{4\pi}{3}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4번 이다.

8번

도선이 받는 힘은

F=lI×B=2×10×az×(2×103×1aρ)=4×102aϕ\begin{equation} \begin{split} \vec{F}&=l\vec{I}\times\vec{B}\\ &=2\times10\times\vec{a_z}\times(2\times10^{-3}\times1\vec{a_\rho})\\ &=-4\times10^{-2}\vec{a_\phi}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aϕ-\vec{a\phi}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므로 소요되는 에너지는

W=02π(4×102aϕ)(1aϕ)=2π×4×102=8π×102 J\begin{equation} \begin{split} W&=\int_0^{2\pi}(-4\times10^{-2}\vec{a_\phi})\cdot (-1\vec{a_\phi})\\ &=2\pi\times4\times10^{-2}\\ &=8\pi\times10^{-2}\text{ J}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9번

D=0\nabla\cdot \vec{D}=0

이므로 두 영역에서 경계면에 수직인 전계 성분으로 인한 전속밀도는 같다. 따라서

D1=D250×4ϵ0=E2y×2ϵ0E2y=100 V/m\begin{equation} \begin{split} \vec{D_{1\perp}}&=\vec{D_{2\perp}}\\ \Rightarrow 50\times4\epsilon_0&=E_{2y}\times2\epsilon_0\\ \Rightarrow E_{2y}&=100\text{ V/m}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리고

×E=0\nabla\times\vec{E}=\vec{0}

이므로 두 영역에서 경계면에 평행한 전계 성분은 같다. 따라서

E2=30ax+70az\vec{E_{2||}}=-30\vec{a_x}+70\vec{a_z}

이다. 이 둘을 종합하면

E2=30ax+100ay+70az\vec{E_2}=-30\vec{a_x}+100\vec{a_y}+70\vec{a_z}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10번

QQ에서 면전류에 의한 자계는

Hs=12×6(ay)=3ay\vec{H_s}=\frac{1}{2}\times6(-\vec{a_y})=-3\vec{a_y}

이다. 그리고 무한히 긴 도선에 의한 자계는

Hl=I2π×1.5ay=I3πay\vec{H_l}=\frac{I}{2\pi\times1.5}\vec{a_y}=\frac{I}{3\pi}\vec{a_y}

이다. 둘이 상쇄되므로

3=I3πI=9π A\begin{equation} \begin{split} 3&=\frac{I}{3\pi}\\ \Rightarrow I&=9\pi\text{ A} \end{split} \end{equation}

이고 답은 3번 이다.

11번

균일한 자계에 수직으로 입사한 전자는 원운동하며, 당연히 원 중심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12번

  1. 맥스웰 방정식 중
    ×E=Bt\nabla\times\vec{E}=-\frac{\partial \vec{B}}{\partial t}
    이므로 옳다.
  2. 폐회로가 자계에 평행하지 않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쇄교하는 자속이 달라지므로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3. 시변 자계 내에서 폐회로가 직선 운동하면 당연히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4. 그렇다.

따라서 답은 3번 이다.

13번

솔레노이드의 권선수를 NN, 길이를 ll이라 하자. 솔레노이드 바깥에서 솔레노이드 안쪽으로 들어가는, 솔레노이드의 길이 방향 변이 dd인 사각형 폐루프를 생각하자. 이 폐루프를 뚫고 들어가는 총 전류는 INldI\frac{N}{l}d이다. 이상적인 솔레노이드이므로 솔레노이드 바깥의 자계는 없으니 솔레노이드 안쪽의 자계가 바로

H=INlH=I\frac{N}{l}

이다. 이는 솔레노이드 안쪽으로 얼마나 깊게 사각형을 그리든 마찬가지이므로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계는 일정하다.

다음으로 토로이드에 대해 알아보자. 반지름을 ρ\rho라 하자. 자계가 원형으로 대칭성이 있을 것이므로

2πρH=NIH=NI2πρ\begin{equation} \begin{split} 2\pi \rho H&=NI\\ \Rightarrow H&=\frac{NI}{2\pi \rho}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따라서 토로이드 내부의 자계는 권선수에 비례하고,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그러므로 답은 3번 이다.

14번

주어진 반사계수로부터 부하임피던스를 구하면

Γ=0.590=j0.5=ZLZ0ZL+Z0j0.5(ZL+50)=ZL50ZL(2j)=100+j50ZL=100+j502j=(20+j10)(2+j)=30+j40 Ω\begin{equation} \begin{split} \Gamma&=0.5\phase90^\circ\\ &=j0.5\\ &=\frac{Z_L-Z_0}{Z_L+Z_0}\\ \Rightarrow j0.5(Z_L+50)&=Z_L-50\\ \Rightarrow Z_L(2-j)&=100+j50\\ \Rightarrow Z_L&=\frac{100+j50}{2-j}\\ &=(20+j10)(2+j)\\ &=30+j40\text{ }\Omega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2번 이다.

15번

  1. 주어진 영역에서 전류는 없으므로 옳다.
  2. 자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옳다.
  3. 맥스웰 방정식에서
    ×H=J\nabla\times\vec{H}=\vec{J}
    이고, 주어진 영역에서 전류밀도는
    J=Iπa2az\vec{J}=\frac{I}{\pi a^2}\vec{a_z}
    므로 옳다.
  4. 자하는 어디에도 없으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답은 4번 이다.

16번

ㄱ. 경계면에 수직인 전속밀도는 같은데 비유전율이 변하였으므로 전계 크기는 달라진다. 또한

×E=Bt\nabla\times\vec{E}=-\frac{\partial \vec{B}}{\partial t}

이므로 수평 성분도 변할 것이다.

ㄴ. 특성임피던스는

η=μϵ=μ0ϵ012=η02\eta=\sqrt{\frac{\mu}{\epsilon}}=\sqrt{\frac{\mu_0}{\epsilon_0}}\sqrt{\frac{1}{2}}=\frac{\eta_0}{\sqrt{2}}

이므로 다르다. 따라서 H=EηH=\frac{E}{\eta}임에 따라 자계 크기도 변한다.

ㄷ. 속도는

v=1μϵ=1μ0ϵ012=c2v=\frac{1}{\sqrt{\mu\epsilon}}=\frac{1}{\sqrt{\mu_0\epsilon_0}}\frac{1}{\sqrt{2}}=\frac{c}{\sqrt{2}}

이므로 변한다.

ㄹ. 주파수는 일정하다.

ㅁ. 전파상수는

β=ωμϵ=ωμ0ϵ02\beta=\omega\sqrt{\mu\epsilon}=\omega\sqrt{\mu_0\epsilon_0}\sqrt{2}

이므로 변한다.

따라서 답은 1번 이다.

17번

  1. 그렇다.
  2. 반자성체의 자기 쌍극자 모멘트는 인가된 자기장에 비례한다.
  3. 상자성체는 외부 자기장에 노출될 때 자기 모멘트가 자기장 방향으로 정렬하여 자기장이 강화된다.
  4. 그렇다.

따라서 답은 2번 이다.

18번

원점에 있는 점전하로 인한 전위는

V1(r)=14πϵ0rV_1(r)=\frac{1}{4\pi\epsilon_0 r}

이다. 이 전하의 전기장으로 인해 이동시 필요한 에너지는

Q(V1(1)V1(3))=14πϵ014πϵ03=14πϵ023Q(V_1(1)-V_1(3))=\frac{1}{4\pi\epsilon_0}-\frac{1}{4\pi\epsilon_0 3}=\frac{1}{4\pi\epsilon_0}\frac{2}{3}

이다.

다음으로 점 AA에 있는 점전하로 인한 점 BB에서의 전위는

V2(B)=14πϵ012+32=14πϵ0110V_2(B)=\frac{1}{4\pi\epsilon_0 \sqrt{1^2+3^2}}=\frac{1}{4\pi\epsilon_0 }\frac{1}{\sqrt{10}}

이고, 점 CC에서의 전위는

V2(C)=14πϵ012+12=14πϵ012V_2(C)=\frac{1}{4\pi\epsilon_0 \sqrt{1^2+1^2}}=\frac{1}{4\pi\epsilon_0 }\frac{1}{\sqrt{2}}

이다. 따라서 이 전하의 전기장으로 인해 이동시 필요한 에너지는

Q(V2(C)V2(B))=14πϵ01214πϵ0110Q(V_2(C)-V_2(B))=\frac{1}{4\pi\epsilon_0 }\frac{1}{\sqrt{2}}-\frac{1}{4\pi\epsilon_0 }\frac{1}{\sqrt{10}}

이므로 앞서 구한 에너지와 더하면

W=14πϵ0(23+12110)W=\frac{1}{4\pi\epsilon_0 }\left(\frac{2}{3}+\frac{1}{\sqrt{2}}-\frac{1}{\sqrt{10}}\right)

이고 답은 1번 이다.

19번

도선의 반지름이 줄어드는 속력을 drdt=vr\frac{dr}{dt}=-v_r라 하자. 주어진 도선이 만드는 면적을 통과하는 자속은

Φ=Bvecds=BS\begin{equation} \begin{split} \Phi&=\int \vec{B}\cdot{vec{ds}}\\ &=BS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로부터 유도기전력을 구하면

emf=dΦdt=SdBdtBdSdt\begin{equation} \begin{split} emf&=-\frac{d\Phi}{dt}\\ &=-S\frac{dB}{dt}-B\frac{dS}{dt}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때 dSdt\frac{dS}{dt}를 구하면

dSdt=ddt(πr2)=2πrdrdt=2πrvr\begin{equation} \begin{split} \frac{dS}{dt}&=\frac{d}{dt}(\pi r^2)\\ &=2\pi r\frac{dr}{dt}\\ &=-2\pi rv_r \end{split} \end{equation}

이다. 이를 대입해서 유도기전력이 0인 순간에 대해 풀면

emf=0=πr02αB0(2πr0vr)vr=πr02α2B0πr0=r0α2B0\begin{equation} \begin{split} emf&=0\\ &=-\pi r_0^2\alpha-B_0(-2\pi r_0 v_r)\\ \Rightarrow v_r&=\frac{\pi r_0^2\alpha}{2B_0\pi r_0}\\ &=\frac{r_0\alpha}{2B_0} \end{split} \end{equation}

이므로 답은 1번 이다.

20번

주어진 조건에서 J=0\vec{J}=0이므로

×E=Bt\nabla\times\vec{E}=-\frac{\partial \vec{B}}{\partial t}

이다. 좌변을 먼저 구하면

×E=axayazxyzExEyEz=axayazxyz0Kx10t0=axayazxyzExEyEz=az(Kx10t)x=Kaz\begin{equation} \begin{split} \nabla\times\vec{E}&= \begin{vmatrix} \vec{a_x} & \vec{a_y} & \vec{a_z}\\ \frac{\partial }{\partial x} & \frac{\partial }{\partial y} & \frac{\partial }{\partial z}\\ E_x & E_y & E_z \end{vmatrix}\\ &= \begin{vmatrix} \vec{a_x} & \vec{a_y} & \vec{a_z}\\ \frac{\partial }{\partial x} & \frac{\partial }{\partial y} & \frac{\partial }{\partial z}\\ 0 & Kx-10t & 0 \end{vmatrix}\\ &= \begin{vmatrix} \vec{a_x} & \vec{a_y} & \vec{a_z}\\ \frac{\partial }{\partial x} & \frac{\partial }{\partial y} & \frac{\partial }{\partial z}\\ E_x & E_y & E_z \end{vmatrix}\\ &=\vec{a_z}\frac{\partial (Kx-10t)}{\partial x}\\ &=K\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다. 다음으로 우변을 구하면

Bt=(μH)t=0.2×20az=4az\begin{equation} \begin{split} -\frac{\partial \vec{B}}{\partial t}&=-\frac{\partial (\mu\vec{H})}{\partial t}\\ &=-0.2\times 20\vec{a_z}\\ &=-4\vec{a_z} \end{split} \end{equation}

이다. 그러므로

Kaz=4az V/m2K\vec{a_z}=-4\vec{a_z}\text{ V/m}^2

이고 답은 2번 이다.